한국공항공사(KAC)가 코로나19 이후 항공수요 급증과 4차산업 차세대 기술 가속화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을 반영해 글로벌 공항그룹으로서 전문 역량을 높이고자 중장기 미래발전전략을 수립한다고 6일 밝혔다.
공항공사는 팬데믹 상황에 따른 경영위기를 조속히 타개하고 디지털,스마트공항, 신공항건설, 미래모빌리티 등 다가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치체계 창출과 경영혁신 실천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세계적인 국제항공여객 증가 추세에 맞춰 공항시설 확충 등 공항 본연의 기능을 강화한다. 또 인공지능(AI) X-ray, 손정맥 보안인증 결제서비스, 빅데이터, 디지털트윈 등 스마트 기술을 공항 운영 전반에 확대·적용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마련한다.
여기에 김포와 김해, 제주 등 전국 14개 공항을 운영하는 공항공사의 정체성에 국정과제를 반영, 공항별 특화 콘셉트를 개발하고, 관광플랫폼으로서의 지방공항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 지역균형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현재 공항공사의 핵심사업인 UAM 상용화, KAC-BIM 사업을 지속하는 동시에 항공산업의 혁신을 견인할 신성장 사업을 새로 발굴한다. 수익개선 방안 고도화, 국내외 항공정책과 업계 트렌드 변화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 수립 등 내부 경영 내실화 과업도 할 예정이다.
이번 중장기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전문용역 입찰공고는 이날부터 오는 19일까지 13일간 이뤄지며, 관련업계,정부 등 이해관계자와 분야별 전문가 자문, 대국민 의견수렴 등을 통해 공항공사가 나아갈 미래혁신상을 수립한다는 목표다.
이정기 공항공사 사장 직무대행은 “대내외 경영환경변화를 포괄한 신 경영전략을 통해 미래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글로벌 항공산업을 이끄는 대표 공항운영 전문 그룹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견고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