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기초수급 받는 2030 증가… 청년 빈곤 심화

전체 수급자의 10% 차지… 매년 증가세
고금리·고물가·취업난에 1인 가구 늘어
생활고 겪는 청년층↑… 정책 지원 절실
道 “복지부·도정 사업 통해 대책 발굴”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이미지투데이
기사와 직접 관련 없는 사진. 이미지투데이

 

고금리·고물가, 취업난이 이어지면서 경기도내 청년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가 증가세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1인 가구는 증가하는 데 반해 고용률은 절반 수준을 밑도는 탓인데, 청년 빈곤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경기도와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도내 19~39세의 청년 기초수급자 수는 2020년 3만7천744명에서 2021년 4만1천550명으로 4만명대를 돌파한 이후 2022년 4만1천797명, 2023년 4만3천990명으로 늘어났다.

 

특히 올해는 지난달 기준 청년 기초수급자 수가 4만7천486명을 기록, 연말 그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기초생활수급자는 최소한의 생활을 보정하는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인데, 기본적인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이 계속 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도내 전체 기초생활수급자가 36만2천988명, 2021년 40만4천621명, 2022년 42만4천697명, 2023년 42만5천805명인 점을 감안하면, 매년 집계되는 기초생활수급자의 10%를 청년층이 차지하는 실정이다.

 

이는 청년 1인 가구 수 증대와 취업난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통계청 집계에 따르면 도내 청년 1인 가구 수는 2018년 5만2천215가구로 5만가구대에 진입한 뒤 2021년 5만5천11가구로 정점을 찍고 소폭 감소했지만, 지난해 5만2천787가구로 집계되며 5만가구대를 유지하고 있다.

 

취업난 또한 청년 기초생활수급자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는데 경기지역 청년(15~29세) 고용률은 2019년 45.4%, 2020년 43.1%로 전년대비 2.3% 하락한 수치를 보인 이후 2021년 45.5%, 2022년 50.0%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엔 다시 49.9%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강구하고 있지만 좋지 않은 경제 상황에 지체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매년 청년세대의 국민기초생활수급자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로는 실업률의 증가와 고물가 등 경제 사정이 크게 반영된 게 크다”며 “각 분야별로 복지부 또는 도정 사업을 통해 청년을 더불어 복지 돌봄이 필요한 도민들에게 지원 강화와 새로운 시도 등을 계속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