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용 원주민재정착위원회 위원장 “하남 교산지구는 명품신도시로 조성”

원주민 재정착 공동주거단지 유치 종종걸음

image
하남 교산신도시 원주민재정착위원회 장준용 위원장. 본인 제공

 

3기 신도시 하남 교산지구를 하남을 넘어 수도권 최고 명품 신도시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문하는 원주민 단체 대표가 있어 화제다.

 

지난 6년 동안 발품을 팔아온 교산신도시 원주민재정착위원회 장준용 위원장(56)이 그 주인공이다.

 

교산에서 13대째 살고 있는 ‘교산지킴이’ 장 위원장은 또 다른 하나의 신도시가 아닌, 수려한 자연과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면서 삶의 질이 풍부한 명품 신도시 조성을 역설하고 있다.

 

그러면서 원주민이 고향을 떠나지 않고 다시 정착할 수 있는 토대 마련을 소망하고 있다.

 

교산지구는 입지나 환경적 장점이 많다. 입지적으로는 서울 송파, 삼성역 복합환승센터에서 직선거리로 10㎞ 내외로 판교보다 가깝다. 도로와 지하철 등 서울 동부 교통요충지로 경제적 거점 역할이 충분하다.

 

환경적으로는 남쪽 끝은 남한산성, 북쪽은 신도시 중앙을 남북으로 흐르는 덕풍천이 팔당과 한강으로 이어지며 삼면이 남한산성 줄기 산으로 둘러싸인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장 위원장은 “3기 신도시 중 선호도가 높은 지역으로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신도시 조성을 위해 장점을 극대화해야 한다. 광주향교와 천왕사지 그리고 한성백제 도읍터를 토대로 남한산성과 한강을 연계한 관광벨트 조성으로 지역을 명품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이디어는 이뿐만이 아니다. ▲서울~양평고속도로 신도시 구간 IC 전 구간 지하화 ▲만남의 광장역 실질적인 복합환승센터 구축 ▲신설 지하철역 지하주차장 설치 ▲지하철 역사 연계 호수공원 조성 ▲산책로 및 둘레길 정비 조성을 통한 자연친화적 도시 등이 있다.

 

최근 그는 금광연 하남시의회 의장과 만나는 등 명품 신도시 조성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기 위한 TF팀(협의체) 운영 성과를 내기도 했다.

 

장 위원장은 교산 원주민들을 위해 꼭 이뤄 내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다. 교산 원주민들의 재정착과 권익보호 등이다.

 

교산 법화골 일원에 원주민 공동주거단지 유치와 함께 대토 보상자들의 권익 보호 및 손실보상을 위한 사업 적정성 확보 등이다. 현재 하남시, 하남시의회 등과 사안을 공유하면서 결실을 얻기 위해 분주하다.

 

사실 원주민들에겐 수용된 토지와 집이 전부다. 미사지구와 감일지구에서 수용된 이택 대상자 대부분이 자신들의 권한을 전매하는 경우를 봐 왔기에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그는 이택 정책이 획일적이 아닌 탄력적으로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고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공동주택 사업이 필요한 시점임을 거듭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현행 공공주택특별법은 원주민 배려가 없는 일방적 정책으로 경제강국 한국의 위상에 맞지 않다. 시대가 무엇을 원하는지 도시계획 단계부터 선진적 정부 정책이 반영돼야 한다”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강제수용으로 지역 환원이 거의 없이 막대한 수익을 가져가는 독점적 방식의 구조를 지양하면서 지역 환원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