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에 따른 응급실 진료 차질이 심화되는 가운데 정부가 오는 4일부터 군의관과 공중보건의(공보의)를 응급실에 긴급 배치하기로 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응급의료 등 비상 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을 열고 “응급실 운영이 일부 제한된 의료 기관에 15명의 군의관을 (오는)4일 배치하고, 9일부터 약 235명의 군의관과 공보의를 위험 기관에 집중 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별로 응급 또는 후속 진료가 가능한 의료 인력을 공유하고, 순환 당직제 대상 확대로 지역 응급의료 수요를 적시에 해결하겠다”며 “11∼25일을 추석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주간으로 운영해 중증·응급 환자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응급의료 역량을 전반적으로 따져봤을 때 일각에서 제기하는 ‘응급실 붕괴’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복지부 집계에 따르면 현재 전국 409개 응급실 중 99%인 406곳은 24시간 운영 중이며, 6.6%에 해당하는 27곳은 병상을 축소 운영 중이다.
하지만 지역 응급실 곳곳에선 진료 축소, 중단이 현실화되면서 의료계 안팎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아주대병원 응급실의 경우 응급의학 전문의의 번아웃으로 응급실 과부하 대책 회의에서 축소 운영이 거론되기도 했으며, 소아응급실은 이미 일부 전문의 근무 중단으로 축소 진료가 진행되고 있다.
이날 의대 교수 단체는 정부 발표와 달리 이미 많은 응급실이 정상 진료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의료 붕괴 책임자 처벌과 의대 증원 중단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정부 발표와 다르게 이미 많은 응급실은 전문의 부족으로 정상적인 진료를 못 하고 있다”며 “전국 57개 대학병원 응급실 중 분만이 안 되는 곳은 14곳, 흉부대동맥 수술이 안 되는 곳은 16곳, 영유아 장폐색 시술이 안 되는 곳은 24곳, 영유아 내시경이 안 되는 곳은 46곳”이라고 자체 조사 결과를 제시했다.
이어 “추석을 기점으로 응급진료가 불가한 질환이 더욱 증가하고 응급실을 닫는 대학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아동병원협회도 이날 정부에 “추석 연휴 기간 응급실을 찾는 빈도가 높아지는데, 이대로라면 아동병원의 ‘소아응급실’화가 심각해질 것”이라며 “다가올 추석 연휴 소아 응급 진료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