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개선으로 육류 생산 생태계 발전에 힘쓰는 ‘돼지 박사’의 연구와 교육은 계속됩니다.”
김인호 단국대 바이오융합대학 생명자원학부 교수(58)에겐 별명이 하나 있다. 주변에서 그는 ‘돼지 박사’로 통한다. 그 별명처럼 김 교수는 연구과 교육을 오가며 축산업 발전에 힘쓰고 있다.
김 교수는 모교 단국대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캔자스주립대에서 동물영양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25년간 돼지 사료의 품질 개선을 통해 식량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해 왔고 이 같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도 사료의 영양학 원리와 응용에 관해 강의하고 있다.
2000년 교수 임용 이후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실린 논문만 644건(8월 말 기준)이고 한국연구재단 및 다국적기업을 통해 수주한 연구비가 총 310억여원에 이른다.
물론 김 교수의 행보는 단순 수치로만 표현할 수 없다. 돼지를 비롯한 동물의 사료 품질 개선은 식량 자원 생산과 직결되는 만큼 김 교수의 연구는 결국 국민들의 먹거리 환경에 있어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김 교수는 “국내 동물사료 원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 원료의 영양소를 최적으로 활용하는 가공 기술이 필수”라며 “이를 통해 원료의 소화율을 높이고 사료의 효율성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무항생제 양돈사료와 저탄소·친환경사료를 개발해 우리나라 돼지 ‘한돈’의 위상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도 듣는다.
그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 다수의 사료 업체는 김 교수가 연구한 사료 가공 기술을 채택해 상용화하고 있다. 또 그의 기술은 저탄소 사료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어 지속가능한 축산업 생태계 구현에도 큰 보탬이 되고 있다.
또 김 교수의 연구실에서 배출된 130여명의 석·박사 제자들은 학계와 산업계를 가리지 않고 그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30여명의 졸업생은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충북대, 경북대, 중국쓰촨농대 등에서 교수로 임용됐다. 또 산업계에서도 박사학위자들은 동물성 단백질 공급을 책임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식품 제공이 가능하도록 기여하고 있다.
이 같은 공로에 단국대에서도 그를 교내 제1호 석학교수로 임명했다. 올해 단국대에 처음 신설된 석학교수직은 정년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연구와 후학 양성에 매진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이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고품질의 동물성 단백질 식품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며 “제 목표는 연구와 교육을 통해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