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CJ는 K-컬처밸리와 결별하나, 함께 가나

image
CJ라이브시티 아레나 이미지. CJ라이브시티 제공

 

경기도가 11일 K-컬처밸리 관련 발표를 했다. CJ라이브시티의 아레나 시설 기부채납이다. 17%의 공정에서 멈춰서 있는 핵심시설이다. CJ가 이를 경기도에 넘기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조물과 함께 설계도면 등도 모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CJ 측은 그동안 아레나 시설에 특별한 애착을 보여 왔다. 지난달 초 ‘아레나 건축 계속’을 공개 요구하기도 했다. 이날 경기도의 발표는 환영의 의미를 담았다. 사업의 걸림돌이던 사안이 해결됐다고 밝혔다.

 

CJ 측에 의한 소송, 상업용지 반환, 중단된 아레나 처리. 그동안 경기도에는 부담이었던 듯하다. 이날 발표에서 ‘세 가지 쟁점 사항이 모두 해소됐다’고 강조했다. CJ는 9월 초 ‘소송 기간 5년 이상의 부담’을 언급한 바 있다. 상업용지 반환은 도의회 예산 통과로 마무리됐다. 이제는 CJ 측의 아레나 포기(기부채납)까지 결정된 셈이다. 경기도 담당 국장도 ‘모든 장애 요인이 해소됐다’고 밝혔다. 재추진 방향을 다시 강조했다. 원안대로 추진이다.

 

이쯤에서 궁금해지는 대목이 있다. CJ는 완전히 손을 뗀 것인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CJ의 입장문을 볼 필요가 있다. 같은 날 경기도 발표 직후 내놓은 공식 입장이다. 아레나를 기부채납하기로 한 입장은 확인했다. ‘이날(11일) 기부채납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사업 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는 설명을 붙였다. 그리고 우리 관심을 끄는 부분이 있다. ‘아레나에 기여하려는 의지에 변함 없다...소통과 협의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앞선 경기도 발표는 ‘핵심 쟁점 해소’, ‘속도감 있는 추진’이다. 뒤의 CJ 발표는 ‘의지 여전’, ‘소통과 협의 지속’이다. 양측 발표가 시차를 두고 각각 발표됐다. 원칙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큰 차이는 없을 수 있다. 경기도의 재추진 골격은 공영개발이다. 여기에 민간 사업자를 참여시키는 방식이다. 국내외 모든 민간 사업자가 대상이다. CJ도 동등한 참여 기회를 갖고 있다고 봐야 한다. 경기도 관계자도 수차례 밝혔던 원칙이다. 시간을 두고 볼 일이다.

 

이래서 시민을 더 궁금하게 하는 것은 향후 계획이다. ‘공영 개발’이라는 구호는 충분히 공유됐다. ‘원안대로’, ‘아파트 안 짓는다’는 약속도 많이 들었다. 이제는 구체적인 청사진을 내놓을 때다. 민심도 처음부터 하나였다. ‘원안대로 추진하고 그 타임라인을 공개하라.’ 경기도는 처음부터 해제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법적 검토를 거친 해제였다고 했다. 이제 와서 CJ 측 소송 포기에 별스러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이상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