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당 100명 담당… 급식 종사자 ‘죽을 맛’

도내 학교 10곳 중 9곳 업무 과중
인원 부족에 화상·베임 사고 속출
시설 낙후 산재 ↑ ‘근본 대책’ 필요
도교육청 “근무환경 개선에 노력”

image
급식 종사자. 경기일보DB

 

경기도내 학교 10곳 중 9곳의 조리 실무사들이 급식 인원 과다로 인해 업무 과중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업무과중에 더해 설상가상 업무 관련 사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급식종사자들의 근무 여건 개선 방안 마련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교육계에 따르면 조리 실무사가 2인 이하인 초·중·고 8천981개교에서 조리실무사 1인당 급식 인원이 100명을 넘긴 곳이 6천241개교(69%)를 기록했다.

 

특히 경기도의 경우 조리 실무사 1인당 급식 인원이 100명을 넘긴 학교가 1천985개교(88%)인 것으로 확인됐다. 사실상 도내 조리 실무사 대부분이 100명 이상의 학생을 상대하면서 과도한 업무에 노출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더해 급식·조리시설의 낙후로 인해 관련 산재 발생 건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2020~2023년) 동안 조리 실무사를 포함한 학교 급식 조리 종사자 산재 발생 건수는 ▲2020년 729건 ▲2021년 1천202건 ▲2022년 1천475건 ▲2023년 1천794건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역시 1월부터 8월까지 집계된 사고만 1천264건으로 이중 경기도는 416건이 발생, 광역 지자체 중 사고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현장에서는 메뉴 수가 늘어나면 그만큼 급식 종사자들의 노동 강도가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는데 시설 개선, 영양분 분배 등 업무 과다를 막을 추가적인 조치는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도내 조리 종사자 A씨는 “조리를 하다가 살짝 데이거나 베이는 일은 다반사고 한 번은 조리 기구를 쏟아 크게 다친 적도 있었다”며 “이처럼 사고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니 일을 그만두거나 다른 일을 찾아보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학생들의 급식 질 개선도 중요하지만 급식 종사자 보호를 위한 정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학생들의 급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은 있지만 종사자 관련 정책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1인당 급식수 하향을 위한 대책과 조리시설 현대화를 진행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자율선택급식’ 확대를 추진하면서 급식 종사자들의 여건 개선을 위해 관련 상황을 계속 모니터링 하고 있다”며 “급식 종사자들이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지 않고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대응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