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입장문 “4년 전 공동연락사무소 폭파한 퇴행 반복 민통선 내 3개 마을 주민에 이동자제 권고
정부가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북측 구간 남북 연결도로 폭파와 관련해 “남북합의의 명백한 위반이며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특히 경의선·동해선 사업은 남측이 제공한 1억3천290만달러의 차관으로 진행됐다는 점을 강조하며 상환 의무와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이 모두 북한에 있다고 경고했다.
통일부는 15일 오후 입장문을 통해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북측 구간 남북 연결도로 폭파는 명백한 남북합의 위반”이라며 “매우 비정상적 조치로 정부는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전했다.
이어 “이는 4년 전 대북전단을 이유로 남북 간 합의하에 1년 넘게 운영해온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하루아침에 일방적으로 폭파했던 행태를 다시 한번 보여준 것”이라며 “퇴행적 행태를 반복하는 북한의 모습에 개탄스러울 따름”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아울러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 도로는 총 1억3천290만달러에 달하는 차관 방식의 자재와 장비 제공을 통해 건설된 것”이라며 “상환 의무가 여전히 북한에 있다”고 강조했다. 또 “남북 철도·도로 폭파와 관련한 모든 책임은 북한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서부전선 접경지역인 파주시 DMZ 안보 관광이 잠정 중단됐다.
파주시는 이날 접경지역 관할 사단인 육군 1사단 측의 요청에 따라 도라산 전망대와 제3땅굴, 통일촌을 둘러보는 비무장지대(DMZ) 안보 관광을 중단했다.
앞서 지난 11일 도라산 전망대와 제3땅굴 관광이 중단됐다가 제3땅굴 관광은 12일부터 재개됐지만, 이날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 폭파 여파로 3개 관광지가 모두 운영을 중단했다.
이와 함께 군은 이날 오전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지역인 장단면 통일촌과 해마루촌, 국내 유일의 DMZ 내 마을인 대성동 마을 이장들에게 주민 이동 자제 권고 등 비상조치를 내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