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취임 100일’…친윤 전면전 태세 예고 국무총리·비서실장·원내대표 중재 역할 논란
최근 여권 일각에서 윤석열·한동훈 갈등과 관련해 한덕수 총리와 추경호 원내대표,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등 이른바 ‘당정 3인방’의 갈등 중재 역할론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2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윤 대통령은 지난 21일 한 대표와 면담 후 추경호 원내대표를 불러 만찬을 하고 23일에는 홍준표 대구시장을 만났다. 이후 홍 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한 대표와 ‘친한계(친한동훈)’를 향해 ‘쥐떼(레밍)’라고 공격하면서 두 계파 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
이후 한 대표는 ‘취임 100일(30일)’을 앞두고 윤 대통령과 차별화에 나섰고, ‘반한(반한동훈)’도 전면전 태세를 갖추고 있다.
첫 전면전은 다음 주 초 특별감찰관 추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의원총회에서 ‘친한계’와 반대파인 ‘친윤(친윤석열)계’의 충돌로 예상된다.
앞서 한 대표는 ‘국회의 인사 추천 권한 관련 사안은 원내대표 소관’이라는 추경호 원내대표의 반발에 대해 “원내든 원외든 당 대표가 총괄한다”며 물러서지 않았다. 그러면서 최근 자신을 향한 반대 목소리를 “변화와 쇄신을 방해하는 자해적 이간질”로 규정하며 강경 기조를 이어갔다.
친한계는 또 지난해 12월 이후 중단됐던 중진연석회의를 부활하고 상임고문단 회의도 수시로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진·원로들과 접점을 늘리며 당내 영향력을 키우고 주도권을 잡겠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이에 맞서 친윤계는 조만간 의원총회를 열어 그동안 한 대표의 행보를 관망하며 침묵하던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 운영 전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한 친윤계 의원은 이날 “한 대표는 개인의 인기와 정치적 이득을 위해서 당이 지향하는 가치, 이념을 내팽개치고, 원내 협상 전략을 포기하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게 문제”라며 “곧 드러나겠지만, 많은 의원이 공감하는 지점”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윤·한 갈등’에 따른 친한계와 친윤계의 계파 대결이 전면전 양상으로 전개되자 여권 일각에서는 당정 ‘3인방’의 중재 역할을 촉구하고 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두 분이 힘을 모아도 거대 야당에 맞설 동력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민에게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건 진정한 의미의 위민(爲民) 정치가 아닐 것”이라고 “대통령과 한 대표 측근에 있는 분들이 본인의 직(職)을 걸고라도 갈등 확산을 막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