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서 하는 백 번의 헌혈보다 100명이 한 번씩 동참하는 헌혈이 더 가치 있다고 믿습니다.”
장문용 용인서부소방서 구갈119안전센터 소방교(30)는 자타 공인 ‘헌혈왕’이다. 만 30세의 6년 차 소방대원인 그가 지금껏 살아오면서 쌓아온 헌혈 기록은 무려 144회다.
사실 헌혈 횟수보다 중요한 건 따로 있다. 바로 그 사람의 마음가짐이다.
장 소방교는 시곗바늘을 2010년으로 되돌려 그가 처음 헌혈한 그때, 고등학생 시절을 떠올렸다. 그는 “학교에 온 헌혈버스에 호기심이 생겼고 음료수나 간식을 준다는 말에 선뜻 피를 뽑았다”고 회상했다.
이후 장 소방교는 헌혈에 대한 정보를 찾아 보다가 헌혈의 의미를 되새겼다. ‘왜 나의 피를 다른 사람들에게 나눠 줘야 할까’, ‘어떤 질병을 보유한 이들에게 내 피가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이처럼 그는 다방면으로 헌혈에 대한 정보를 알아 보다 보니 자연스럽게 헌혈은 그의 삶 속에 스며든 중요한 요소가 됐다.
고교 시절부터 타인을 돕는 구급대원이 되고 싶었던 그는 응급구조학을 전공한 뒤 2019년 6월 용인소방서에 임용, 구급대원으로서 첫발을 내디뎠다.
생명을 구하는 현장 구급대원이 된 그의 헌혈 사랑은 더욱 커졌다. 장 소방교는 “타인을 향한 사명감을 가지고 도움의 손길을 건넨다는 측면에선 구조활동과 헌혈은 다를 바 없다고 느꼈다”고 설명했다.
그가 헌혈을 위해 찾는 곳은 처인구 김량장동에 위치한 헌혈의집 용인센터다. 용인소방서 부임 이후 용인서부소방서로 소속이 변경된 지금까지도 그는 이곳만 찾았다.
그런 그에게 지인의 아버지를 도왔던 몇 해 전의 기억은 소중한 순간으로 남아 있다. 혈액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지정 헌혈로 자그마한 보탬이 됐기 때문이다.
이제 장 소방교에게 헌혈은 일상이자 습관이다. 틈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음 헌혈 일정을 확인하고 불규칙한 근무 패턴이 헌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꾸준히 건강 관리도 하고 있다.
30번, 50번, 100번째 헌혈마다 대한적십자사 유공장과 명예장을 받았지만 장 소방교에게 헌혈은 단순 기록이 아닌 셈이다.
그런 그는 꾸준히 타인을 향한 도움의 손길을 어떻게 하면 확산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그가 백혈병이나 골수암 환자들을 위해 조혈모세포 기증 희망인 등록 신청 절차를 밟아 놓은 이유도 ‘나의 도움이 누군가에겐 큰 힘이 될 것’이라는 확신에서 나오는 실천이다.
장 소방교는 “나의 작은 손길이 누군가에겐 든든한 도움이 될 수 있는 만큼 나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 모두가 헌혈에 동참해줬으면 하는 마음도 크다”며 “혈관이 손상되지 않는 한, 혈관이 버티는 그날까지 헌혈을 계속하겠다. 이미 헌혈은 내 삶의 일부”라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