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을 위한 외침'... 인천 서해 5도, 용산서 '안보특구 개편' 요구

2일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인천 서해5도 주민들이 ‘서해5도 주민의 생존 보장 대책 촉구’ 집회를 하고있다. 위원회 제공
2일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인천 서해5도 주민들이 ‘서해5도 주민의 생존 보장 대책 촉구’ 집회를 하고있다. 위원회 제공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과 확성기 방송 등 잇따른 도발로 남북간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서해 5도를 안보특구로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해 5도 주민으로 꾸려진 ‘안보특구 5도서 옹진군 복귀 비상대책위원회’는 2일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생존 보장 대책을 촉구했다. 이들은 “북한은 제1·2연평해전, 대청해전, 백령도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등 450건 이상의 무력도발을 했다”며 “또 서해상 국경선을 주장하는 등 서해 5도를 향한 침략야욕을 격렬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상군사분계선도 없이 화약고 안에 내던져진 서해 5도 주민들은 70년동안 인계철선으로 희생해 왔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대책위는 정부 차원에서 서해5도 방어의 확대 보장을 주장했다. 서해 5도를 ‘안보특구 옹진군’으로 개편하고, 유엔(UN)을 주둔시켜 주민의 안전을 보장해달라는 것이다.

 

김필우 대책위원장은 “서해 5도와 인구, 면적 등이 비슷한 울릉도가 독립 기초단체인 것처럼, 서해 5도로 꾸려진 안보특구 설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는 더 이상 서해 5도 주민들을 국가안보의 인계철선으로만 삼지 말고 주민의 안전과 자유 등을 보장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천 중구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인천과 백령도를 오가는 여객선 등이 기상악화 출항하지 못하고 정박해있다. 경기일보DB
인천 중구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인천과 백령도를 오가는 여객선 등이 기상악화 출항하지 못하고 정박해있다. 경기일보DB

 

특히 대책위는 서해 5도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서 백령~인천항로에 카페리호를 즉시 건조해 투입할 것을 요구했다. 현재 인천과 백령도, 연평도 등 서해5도를 오가는 여객선은 코리아프라이드호(1천641t·정원 569명), 코리아프린세스호(534t·정원 448명), 플라잉카페리호(573t·정원 411명) 등 3대 뿐이다. 그러나 선박 모두 규모가 작아 차량 탑재가 불가능해 수산물 운송 및 화물차량을 실을 수 없고 기상 악화에 따른 결항도 잦다.

 

지난 2023년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소청·대청·백령도까지 오가는 여객선의 전체 결항률은 23.5%(365일 중 86일)이며, 연평도를 오가는 여객선 결항률은 15.8%(365일 중 58일)에 이른다. 2~3일에 1번 꼴로 섬과 육지를 잇는 뱃길이 끊기는 셈이다. 이 때문에 서해 5도 주민들은 섬 밖으로 나오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생계 활동에도 지장을 받고 있다.

 

앞서 인천시와 옹진군은 주민들의 이동권 확보를 위해 지난 2020년부터 9차례에 걸쳐 민간선사를 대상으로 백령항로에 2천t급 이상 대형여객선 도입을 추진했다. 그러나 지난 9월 민간 사업자와의 협약이 파기하면서 사실상 무산됐다.

 

김 위원장은 “대형여객선 재도입을 놓고 옹진군이 9차 공모까지 갔으나 무성의한 행정으로 도입이 무산위기에 몰렸다”며 “주민의 기본권인 이동권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카페리호 도입 등이 빠른 시일 내에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책위는 안보특구 옹진군 설치, UN의 서해 5도 주둔, 백령~인천항로 카페리 투입, 연평신항 건설 등의 내용이 담긴 청원서를 서해 5도 주민 1천300명의 서명을 받아 대통령실에 전달하기도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