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서울교통공사 노조 총파업 코앞… 곳곳 혼란 발생

3일 오전 철도·지하철 파업지지와 시민안전 공공교통 지킴이 실천단 소속회원들이 서울역 앞에서 파업지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 오전 철도·지하철 파업지지와 시민안전 공공교통 지킴이 실천단 소속회원들이 서울역 앞에서 파업지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철도노동조합(이하 철도노조)과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연달아 예고한 총파업이 임박한 가운데 곳곳에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내 또 다른 노조가 4일 총파업 합류 여부 결정을 예고했고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막판 대책 마련에, 서울교통공사를 운영 중인 서울시는 단체장 출장 여부를 두고 갈팡질팡하고 있기 때문이다.

 

3일 서울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 소속 제2노조인 서울교통공사 통합노조는 4일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마치고 총파업 합류 여부를 정할 예정이다.

 

이미 철도노조는 오는 5일,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내 제1·3노조는 6일 총파업을 결의한 상태다.

 

이에 코레일 등은 실제 연쇄 파업이 일어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막판 대비책 마련에 매달리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서울교통공사 상위 기관인 서울시에서는 오세훈 시장의 해외 출장을 취소했다가 다시 번복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애초 시는 이날 오전 “5~6일 예고된 코레일, 서울교통공사 파업으로 시민 불편이 전망됨에 따라 4~11일 예정됐던 오 시장의 인도·말레이시아 공무 국외 출장을 취소한다”고 공지했다.

 

하지만 3시간여 후인 오후 들어 “교섭을 앞두고 (시장)출장을 취소하는 것이 오히려 공사 교섭력을 악화할 수 있다고 판단, (국외 출장을)다시 진행키로 했다”며 입장을 바꿨다.

 

서울시가 경기, 인천과 함께 철도 총파업으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수도권 지역인 만큼, 총파업 현실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 탓으로 풀이된다.

 

또 장외에서는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철도 총파업을 ‘집단 이기주의’로 규정, 철회 촉구 성명을 내기도 했다.

 

이날 경총은 “공공성 강화를 주장하면서 국민의 일상을 볼모로 파업을 강행하겠다는 것은 국민 정서상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하며 코레일, 서울교통공사에 시민 불편 최소화를 촉구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파업 현실화에 대비해 필수 운행 인력 확보 및 유지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지자체와도 대응책을 연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