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교육공무직 노조 파업 당겨 “날짜 미결정… 관련 논의 진행”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이 4일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무기한 총파업을 시작, 총궐기 시기 및 규모가 애초 예정보다 빠르고 커졌다.
5일과 6일 총파업을 예정한 철도, 교육공무직 노조보다 하루 빨리 본조가 총파업에 나섰기 때문인데, 다른 산하 노조들도 파업 기간 무기한 연장, 조기 시행을 속속 논의 중이기 때문이다.
4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노총은 이날 새벽 ‘긴급 투쟁 방침’을 공유하고 오전 9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 집결, 총파업을 단행했다.
이날 민주노총은 총파업 전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과 함께 국민의 선두에 서서 윤석열 즉각 퇴진을 위해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5일과 6일 총파업을 예정했던 민주노총 전국철도노조, 교육공무직노조의 경우 파업 종료 시기를 ‘윤 정권 퇴진까지’로 규정, 사실상 무기한 파업으로 방침을 선회했다.
전국철도노조 관계자는 “불평등한 철도 노동 현장을 정상화하는 게 파업의 목표였지만 이제는 계엄을 선포한 윤 정부 퇴진을 위해 파업을 계속해야 한다”며 “이와 별개로 사측과의 교섭에는 최선을 다해 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는 6일 하루 총파업을 예고했던 교육공무직 노조 관계자 역시 “추가 파업을 고려하고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파업 예정일을 특정하지 않고 있던 민주노총 전국금속노조도 윤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을 시 오는 11일 무기한 전면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 파업 규모도 더 커질 전망이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오후 10시24분께 “반국가 세력을 척결하겠다”며 비상계엄을 선포했지만 국회가 비상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의결하면서 6시간 만에 해제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