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지지율 16%로 최저…계엄사태 반영 시 13% [갤럽]

연합뉴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16%로 집권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6일 나왔다. 

 

또 비상계엄 사태 여파가 반영된 4∼5일 기준으로는 지지율이 13%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이 지난 3∼5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포인트)를 보면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율은 16%로, 지난주 대비 3%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윤 대통령 집권 이후 최저치이며, 부정 평가율은 75%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갤럽은 이번 조사에서 비상계엄 사태를 전후로 지지율이 큰 차이를 보였다고 밝혔다. 3일 기준 긍정 평가는 19%, 부정 평가는 68%였으나, 사태 이후인 4∼5일 기준 긍정 평가는 13%로 하락하고 부정 평가는 80%로 상승했다. 한국갤럽은 이를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국정농단 사태 초기의 여론 변화와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32%), '열심히 한다/최선을 다한다'(12%), '경제/민생'(5%), '국방/안보'(4%), '전반적으로 잘한다'(4%) 등이 꼽혔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물가'(19%), '비상계엄 사태'(16%), '전반적으로 잘못한다'(8%), '소통 미흡'(7%), '김건희 여사 문제'(6%), '독단적/일방적'(5%) 등이 언급됐다. 특히 비상계엄 사태는 시점을 고려할 때 가장 주목되는 사안으로 분석됐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27%, 더불어민주당이 37%로 나타났다. 지난주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p 하락했고, 민주당은 4%p 상승했다. 이로 인해 민주당이 국민의힘과의 격차에서 현 정부 출범 이후 최대 우위를 기록했다. 조국혁신당은 7%, 개혁신당은 2%로 나타났으며,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26%였다.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에서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9%로 가장 높은 지지를 얻었고,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11%로 뒤를 이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4%,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각각 3%를 기록했다.

 

대통령제 개헌과 관련해서는 '현행 대통령제에 문제가 있으므로 개헌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1%로 나타났다. '제도보다 운영상 문제이므로 개헌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38%였다. 개헌 방향으로는 4년 중임제 대통령 중심제가 46%로 가장 선호도가 높았고, 의원내각제는 18%, 분권형 대통령제는 14%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통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2.0%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