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10시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대국민 담화가 오후 예정된 국회의 탄핵 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계엄 사태’에 대한 사과에 집중한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비상계엄 선포, 4일 새벽 계엄 해제 발표 이후 사실상 침묵을 지키다 나흘 만인 이날 “국민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법적, 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고 사과했다.
이날 담화 발표 시간은 2분 남짓, 글자 수 분량은 500여 자로 짧았다. ‘사과’ 표현은 2회, ‘송구’ 표현은 1회였다.
윤 대통령은 시종 어두운 표정으로 정면을 바라보고 담화를 발표했으며, 담화를 종료하며 단상 옆으로 나와 약 3초간 고개를 깊게 숙여 인사한 뒤 곧바로 퇴장했다.
이번 담화를 두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로 전 사회적 혼란을 빚은 만큼, 발언을 길게 하기보다는 사과라는 핵심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던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담화가 해명에 치중되면 자칫 여론 역풍을 키울 수 있다는 여권 내 기류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초미의 관심사였던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보다는 “임기 문제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며 포괄적으로 이야기한 것 역시 사과에 집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외신에서는 윤 대통령이 버티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했다.
BBC는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이번 주 두 번째 도박’이라고 평가하며 “윤 대통령은 (국민)추측과 달리 사임 의사를 밝히지 않았고 임박한 탄핵안 표결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며 “대통령으로서 남은 권력을 유지하고 나라가 잊기를 바라며 힘든 마지막 2년을 견뎌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