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비상계엄 사태 당시 경기남부경찰청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경찰력을 투입한 상황과 관련, 구체적인 경위 등을 확인하기 위해 경기남부청의 무전 기록과 주요 지휘부의 휴대전화를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계엄령 선포 직후 선관위 청사에 투입된 일부 경찰이 소총과 실탄을 준비한 사실이 확인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안보수사단은 이날 비상계엄 당시 경찰력 투입 상황을 재구성하기 위해 경기남부청 무전 기록을 확보했다. 수사팀은 경찰력의 선관위 배치 결정이 어떤 맥락에서 이뤄졌는지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앞서 지난 3일 오후 10시41분께 조지호 경찰청장은 김준영 경기남부청장에게 “우발 사태에 대비하라”고 지시했고, 경기남부청은 같은 날 오후 11시25분 수원 선거연수원과 오후 11시48분께 과천 중앙선관위에 각각 기동대를 배치했다.
이 과정에서 과천 선관위에 투입된 초동대응팀 일부 경찰관은 K-1 소총과 실탄 300발이 담긴 탄통을 준비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소총에 실탄을 장전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수원 선거연수원에 배치된 경찰은 무장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수사팀은 무전 기록과 함께 주요 지휘부 간의 보고와 지시 체계를 규명하기 위해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목현태 국회경비대장, 김준영 경기남부경찰청장의 휴대전화를 임의제출받아 디지털 포렌식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통화 내역, 문자메시지, 메신저 기록 등을 분석해 경찰력 투입과 출입 통제 결정의 적법성을 조사할 계획이다.
김준영 경기남부청장의 경우 피의자로 입건되지는 않았지만 계엄 선포 당시 경찰력 투입과 관련해 조 청장과의 통화 기록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경찰은 국회 봉쇄 조치에 대한 수사도 병행하고 있다. 수사팀은 서울경찰청으로부터 국회 주변에 투입된 경찰관들의 무전 기록을 확보해 지시 출처와 전달 경로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회 출입 통제가 어떤 경위로 이뤄졌는지 명확히 밝힐 방침이다.
한편 조 청장은 당시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에 군이 갈 예정”이라는 연락을 받고 경찰력을 투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경찰 내부에서는 무기 준비에 대한 구체적 지시는 없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