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 진입을 지휘한 김현태 707특임단 단장(대령)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해제 정족수인 국회의원 150명 소집을 막으려 했다”고 폭로했다.
김 단장은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국방부 청사 건너편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신원 자체가 기밀이지만 얼굴을 고스란히 노출한 채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김 단장은 “곽종근 특수전사령관한테서 국회의사당과 국회의원회관 등 2개 건물 봉쇄 지시를 받았다”며 “‘국회의원이 (의사당 안에) 150명을 넘으면 안 된다고 한다. 끌어낼 수 있겠느냐’는 뉘앙스였다”고 말했다.
국회의원 숫자와 관련된 언급은 4일 오전 0시에서 0시30분 사이 들은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김 단장은 “(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을 우려했던 것 같다”며 “(사령관이) ‘의원이 늘고 있다, 150명 넘으면 안 된다, 진입이 되느냐’고 물어서 저는 ‘진입이 어렵다’고 했다”고 전했다.
의원 150명 지시에 대해서는 “사령관이 말했고, 김용현 전 장관이 지시했던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실탄 준비에 대해서는 헬기 1대에 탑승하는 8명의 실탄을 통합 보관했으며 분량은 개인별로 5.56㎜ 10발, 9㎜ 10발이었다고 전했다. 그와 별도로 나무 상자에 공포탄과 연습용 수류탄을 실었다고 했다.
아울러 김 단장은 ‘707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이용당한 피해자’라고 강조했다.
그는 “계엄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 계엄 상황에서 국회 활동이 보장돼야 한다는 것을 잘 몰랐다”며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 따르더라도 모두 제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방부 검찰단은 지난 6일 비상계엄 관련 내란죄 등으로 고발돼 검찰 수사를 받는 김 단장을 비롯해 현역 군인 10명에 대해 법무부에 긴급 출국금지를 신청한 바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