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당시 실시간 상황 공유... 정보 접한 시민들 여의도로 밀물 탄핵 반대 국힘의원들 거센 압박...MZ세대들 ‘직접 민주주의’ 실현
12·3 비상계엄 사태부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까지 혼란스럽던 정국의 중심에 선 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였다. 이번 사태에서 SNS는 실시간 공유의 기능을 넘어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밝히고 이를 실질적으로 관철시키는 형태의 사실상 ‘직접 민주주의’ 수단으로 작동했다.
15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가장 먼저 상황이 공유된 건 SNS다. 전 국민이 TV 앞에 앉아있을 수 없는 상황에서 재난문자는 작동하지 않았고, 그 사이 SNS가 실시간으로 상황을 전했다.
물론 SNS가 특정 사안에 대한 상황 전달 기능을 한 건 과거에도 있던 일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촉구 100만 촛불집회 등이 진행됐을 당시에도 SNS에서는 관련 내용들이 활발하게 공유됐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정치적 이슈에 관심이 있던 사람들만 촛불을 들고 광화문에 모이던 것과 달리 당시 ‘100만 국민 촛불집회’라는 이름을 얻은 것 역시 이 때문이었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 SNS는 그 당시를 넘어 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 냈다.
비상계엄 당시 SNS에는 실시간으로 상황이 공유됐고, 이를 통해 정보를 접한 시민들은 즉시 국회 앞으로 향했다. SNS에는 비상계엄을 비판하는 여론이 들끓었다. 이처럼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까지 연결된 여론은 국회를 막아선 계엄군들의 발길을 돌리게 했다.
특히 박 전 대통령 때보다 다양해진 SNS 플랫폼이 이번 사태에 대한 연령·성향을 불문하고 관심도를 만들어냈다. 이는 또다시 계엄에 이어 탄핵 소추안 가결까지 연결됐다. 계엄에 대한 분노의 여론은 SNS를 타고 번지면서 탄핵안 표결 참여에 대한 압박 요인으로 작용했고, 당론으로 탄핵 반대를 정한 뒤 표결에 불참했던 국민의힘 의원들이 표결 참여로 선회하게 만든 결정적 요인이 됐다.
다양한 채널에서 같은 이슈에 대해 거론하기 시작하면서 과거와 다른 시위 문화도 만들어졌다. 충돌은 사라졌고, 응원봉을 들고 시위 현장으로 향하거나 인근 카페에 선결제를 해두고 참여하지 못하는 마음을 대신 전하는 등 새로운 문화가 생겨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현상을 두고 그동안 정치적 의견을 밝힐 기회가 없거나 무관심했던 세대들이 SNS를 통해 사실상의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앞으로는 이 같은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강윤 정치평론가는 “비상계엄이라는 상상하지 못한 사태에 시민들이 ‘내가 주권자다’라는 걸 확인시키고자 하는 열망을 SNS로 표출한 것”이라며 “과거에 비해 활용도가 훨씬 올라갔고, 시민들의 일상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채널이 SNS인 만큼 앞으로 정치적 대화와 참여의 중요한 매개로 활용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창남 경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도 “선거 외에 일반 국민이 정치에 참여할 기회가 없었는데, 이번 사태로 SNS가 직접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엿보게 했다”며 “국민의 뜻을 왜곡할 수 없도록 직접 의견을 개진함으로써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민의를 반영시킨 것”이라고 봤다.
다만 김 교수는 앞으로 SNS의 활용에 있어 가짜뉴스를 경계할 필요는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SNS가 정치적 무관심을 해소하는 역할을 할 수는 있지만 가짜뉴스를 주의할 필요는 있다”며 “실체가 없고 무분별한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관련기사 : 朴 탄핵심판 법률대리인이 보는 '윤 대통령의 재판'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41215580113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