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시내버스 안전관리에 도입되면서 교통사고 위험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남부본부(본부장 조정권·이하 공단)는 AI(인공지능) 안전운전 플랫폼 도입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내버스의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약 40% 감소했다고 18일 밝혔다.
공단은 지난 5월 김포시 소재 선진상운(주)와 협력해 시내버스 45대에 AI 카메라를 설치하고 6월부터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하면서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졸음운전이 99.6% 감소했으며, ▲신호위반은 74.6% ▲전방미주시 66.1% ▲중앙선침범 24.3% ▲안전거리 미확보 9.6% 등 주요 위험운전행동이 전반적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공단은 설명했다.
이를 사고 발생 비중에 적용한 결과,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은 39.7%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평가다.
조정권 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AI 기반 안전관리가 시내버스 교통사고 예방에 효과적임이 입증됐다”며 “지자체와 운수업계에서도 AI 안전관리에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시범사업은 시내버스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AI 안전관리 도입의 첫 사례로, 앞으로 확대 적용될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