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노상원 수첩서 ‘북한 공격 유도’ 표현 확인 …별도 수사단 구성 정황까지

'계엄모의' 수첩 발견된 노상원 안산 점집. 노 전 사령관은 성추행 사건으로 불명예 전역을 한 후 자택에 점집을 차려 역술인으로 활동해왔다. 연합뉴스
'계엄모의' 수첩 발견된 노상원 안산 점집. 노 전 사령관은 성추행 사건으로 불명예 전역을 한 후 자택에 점집을 차려 역술인으로 활동해왔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사전 기획한 노상원 전 국군 정보사령관의 수첩에 북한의 공격을 유도한다는 취지의 표현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노 전 사령관의 안산 자택에서 확보한 수첩에서 ‘북방한계선(NLL)에서 북의 공격을 유도’라는 메모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수첩은 손바닥 크기의 60~70페이지 분량으로 계엄과 연관된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첩에 적힌 북한의 공격을 유도한다는 표현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이 계엄을 위해 북한을 자극하려 했다는 일각의 주장과 맥이 닿는 부분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김 전 장관이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 지점에 대한 원점 타격, 우리 무인기의 평양 상공 투입 등을 지시했다는 보도를 근거로 김 전 장관과 윤석열 대통령을 내란 외에 ‘외환죄’로도 고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경찰은 윤 대통령을 외환 혐의로도 수사 중이다.

 

또 수첩엔 비상계엄과 관련 ‘국회 봉쇄’라는 표현이 적시돼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노동조합, 판사, 공무원 등을 ‘수거 대상’이라고 지칭하고 판사 등 일부 대상자는 실명이 기재돼 있었다. 수거는 체포의 의미로 풀이되는데, 이들에 대한 수용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언급도 담겨 있었다.

 

이와 함께 노 전 사령관이 자신이 지휘하는 별도의 수사단을 꾸린 정황도 포착됐다.

 

계엄 발령 후 계엄법에 의거해 합동수사본부가 꾸려져야 하는데, 노 전 사령관은 정보사와 국방부 조사본부를 중심으로 ‘수사 2단’을 만들고 1차 명령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서버 확보의 임무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노 전 사령관은 수사 2단에 대한 군 관계자 인사 발령 문건까지 사전에 작성했다. 이 문건에는 수사단장을 포함해 총 60여명의 명단이 적혀 있었고, 이 중 내란 및 직권남용 등 혐의 피의자로 입건된 군 관계자 15명도 포함돼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