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진 “계엄주체 공통점…좌파 발호에 대한 분노와 좌절”

“우파, 민주적 정치 과정 처음부터 다시 공부해야”
“문제해결 위해 군·검찰·경찰 등 물리적 수단 의존”

국민의힘 소속 조해진 전 의원 페이스북 캡처.
국민의힘 소속 조해진 전 의원. 조 전 의원 페이스북 캡처.

 

국민의힘 조해진 전 의원은 24일 “우파는 정치를 다시 배워야 한다”며 “국민의 마음을 얻고 그 지지를 무기로 원하는 것을 이루는 민주적 정치과정에 대해 처음부터 다시 공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장관, 노상원 사령관 등 계엄 주체의 극단적 심리 상태에 공통으로 흐르고 있는 것은 좌파의 발호에 대한 분노와 좌절”이라며 “이들에게는 평생을 헌신해 온 대한민국 사회가 좌파 세상이 된 것에 대한 회한과 분노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재명 개딸당이 입법권력을 장악하고 대한민국 국체를 전복하고 있는데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기력함에 대한 좌절과 절망이 있다”며 “그러나 이들에게는 좌파 세력이 어떻게 해서 민심을 훔치고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주류 세력을 교체했는지에 대해 진지한 관심과 치열한 고민이 없다”고 진단했다.

 

조 전 의원은 이어 “그저 어리석은 국민이 선전과 선동에 속아 넘어갔다는 정도의 단순 도식으로 결론을 내리고 만다”며 “좌파 진영이 얼마나 멀리 내다보고 얼마나 오래 투자하고 얼마나 자기희생을 했는지, 얼마나 치밀하게 전략과 전술을 구사해왔는지, ‘동지의 주검을 딛고’ 한 발 한 발 전진해 온 그들의 혈사(血史)에 대해 이해가 없다”고 지적했다.

 

조 전 의원은 또 “그리고 이념전쟁, 체제전쟁의 패배를 한 방에 만회하겠다는 생각으로 계엄이라는 폭력적 수단을 선택했다”며 “그동안 대한민국의 주류로서 제도 권력을 장악해 온 우파는 문제해결을 위해 군, 검찰, 경찰 등 물리적 수단에 의존해 왔고, 제도권에서 소외된 좌파는 집권을 위해 여론과 군중 동원 체제에 의존해 왔다”고 평가했다.

 

조 전 의원은 “대중민주주의가 고도화된 현대, 그중에서도 한국 사회에서 물리적 통치는 한계를 맞게 됐고, 여론정치와 대중 동원 방식이 그것을 대체하게 됐다”며 “좌파는 세상의 변화를 주도적으로 만들어냈지만, 우파는 바뀐 세상을 알지도 못하고 있었던 것이 계엄 사태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국민의힘 소속 조해진 전 의원 페이스북 캡처.
국민의힘 소속 조해진 전 의원 페이스북 캡처.

 

조 전 의원은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바뀐 정치 메커니즘을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있었다면, 0.73%의 살 떨리는 승리를 이뤄낸 대선 연합체제를 총선이라는 중차대한 선거 앞에서 해체해 버리는 정치적 자살행위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총선 참패 후에라도 민심을 얻고 여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더라면 이런 불행한 사태까지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우파가 살기 위해서는 바닥으로 내려가서 거기서부터 민심을 하나씩 얻어 다시 올라오는 수밖에 없다”며 “민심을 얻는 방법을 알고 그것을 실천하지 않으면 우파정당은 더 이상 미래가 없고, 우파 정치도 종언믈 맞게 된다”고 경고했다.

 

조 전 의원은 또 “좌파에 대해서도 가짜뉴스니, 선전·선동이니 하고 폄하하거나 백인시만 할 게 아니고, 타산지석이나 반면교사로라도 배울 것은 배워야 한다”며 “무엇보다도 좌파가 여론을 따라가지 않고 만들어가는 것을 보고 배워야 한다”고도 했다.

 

조 전 의원은 계속해서 “우파는 늘 ‘여론을 따른다’고 이야기하는데, 듣기는 그럴듯하지만, 사실은 ‘국민의 정치적 의사 형성’이라는 헌법적 책무를 게을리해온 정치적 안일과 나태, 무능력과 무책임에 대한 변명일 뿐”이라며 “국민의힘은 대중정치 시대는 여론정치 시대, 여론의 힘이 곧 권력이라는 것을 알고, 민심을 얻는 방법이 무엇인지, 어떻게 여론을 형성하고 선점할 것인지 배우고 익혀야 한다”고 말했다.

 

조 전 의원은 끝으로 “물리력이 아니라 민심을 얻어서 뜻을 이루는 대중민주주의 시대의 정치과정을 A, B, C부터 터득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