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공항 여객기 추락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버드스트라이크(조류 충돌)가 꼽혔다.
29일 전남소방본부는 무안국제공항 청사에서 탑승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현장 브리핑에서 "새떼와의 충돌 등이 사고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날 사고를 두고 일각에서 '짧은 활주로', '기체 결함' 등 다양한 문제를 거론했지만, 소방 측은 조류 충돌을 일단 짚은 것이다.
항공안전을 총괄하는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도 같은 입장이다. 국토부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을 열고 상황을 설명했다.
브리핑을 맡은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57분께 무안국제공항 관제탑은 사고기에 조류 충돌을 경고했고, 이어 1분 후인 58분에 사고기 기장이 메이데이를 요청했다.
이후 사고 여객기는 오전 9시께 19활주로 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했고, 3분 후인 9시3분께 랜딩기어 없이 착륙하다 충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측은 “활주로 01번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하다 관제탑에서 조류 충돌 주의 경보를 주자 얼마 안 있다가 조종사가 메이데이를 선언했다”며 “그 당시 관제탑에서 활주로 반대 방향으로 착륙 허가를 줘서 조종사 수용하고 착륙하는 과정에서 활주로를 지나서 담벼락 충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비행기록장치는 사고조사위원회가 수거했다”며 “음성기록장치는 현장 상황 따라 추가 확보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짧은 활주로가 사고 원인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국토부는 선을 그었다. 활주로 길이가 인천국제공항(3천700m), 김포국제공항(3천600m) 등에 비해 짧은 무안국제공항(2천800m)에서, 단순히 이 길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국토부 측은 “2천800m는 그 전에도 항공기 운항했고, 활주로 길이 충분치 않아 사고 났다고 보기 어렵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보다 정확한 사고 원인 파악을 위해 기체데이터, 블랙박스, 항공기 정비이력을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주 실장은 “사고 항공기가 다른 항공기에 비해 사고나 안저 장애가 많았는지는 비교해봐야 한다”면서 “그러나 특별하게 보고를 받거나 한 사례는 없었다”고 말했다.
한편 사고가 발생한 제주항공 7C2216 여객기는 무안공항에 정기 취항한 지 한 달도 안 돼 참사가 발생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