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까지 가중’ 본보 보도 후... 고시·공고 작성 행정업무 지원 자원봉사 협력 등 대책 마련 착수
인천 지역 특수교사들이 교육 업무 외에도 자원봉사자 등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활동 보조인력의 채용·관리를 도맡아 업무 가중을 호소하는 가운데(경기일보 2024년 11월11일 7면) 인천시교육청이 대책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1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지원단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활동 보조인력 채용 과정을 돕는다.
종전에는 자원봉사자 등으로 이뤄진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활동 보조인력을 채용하려면 특수교사들이 직접 고시·공고를 작성해야 했다. 이 때문에 특수교사들은 방학 기간에도 이들을 채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행정 업무를 해야 했다. 이에 시교육청은 학교지원단과 협력해 특수교사들의 행정업무를 돕는다. 학교지원단이 특수교사들 대신 보조인력 위촉 공고를 올리고 채용에 필요한 서류들을 검토·취합해 해당 학교로 전달한다.
이 뿐만 아니라 시교육청은 자원봉사 인력풀을 구성, 학교지원단 홈페이지에 게시한다. 이에 따라 특수교사들은 필요할 때 홈페이지에 올라온 인력풀만 보고 채용이 가능해진다. 자원봉사자 지원도 늘리기 위해 1365 자원봉사 포털과 인천시자원봉사센터에도 협력을 요청할 예정이다.
보조인력도 확충한다. 시교육청은 지난 2024년 530명 규모였던 봉사자 운영 예산을 확대, 지난해보다 530명(47%)증원한 1천여명의 자원봉사자를 채용한다.
시교육청은 대신 학교의 자율권을 보장하기 위해 이 같은 채용 보조는 희망하는 학교만을 대상으로 하며, 서류 검토 이후의 면접 등 과정은 학교에서 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특수교사 등 교원단체들이 소속된 특수교육 개선 전담 기구에서 관련 내용을 지속적으로 논의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보완점을 찾을 예정”이라며 “특수교사들이 본인의 업무에만 집중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0월24일 인천 미추홀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과로 등으로 근무하다 숨진 특수교사 A씨의 사연이 전해지면서 지역 안팎에서는 특수교사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