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장기 불황이 업체들을 코너로 몰고 있다. 인천에서도 크고 작은 건설업체들이 ‘줄폐업’ 중이다. 사무실 유지도 어려워 폐업사유를 사업 포기라 적고 있다. 새해 시작과 함께 지역 건설업에 또 하나 악재가 터졌다. 시공능력 58위의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이다. 검단신도시 등에서 대형 사업을 벌이던 업체다. 인천 건설업체들의 연쇄 도산 등 후폭풍이 걱정이다.
신동아건설은 검단신도시 대규모 아파트 건설사업의 주관 시공사다. 그러나 지난주 예정했던 청약 당첨자 발표도 취소했다. 당첨자들도 계약을 포기할 수 밖에 없게 됐다. 영종도 미단시티 개발 사업에도 불똥이 튈 전망이다. 이곳 공동·단독주택 부지 개발 사업의 시공을 맡고 있다. 시행사 인천도시공사(iH)에 낼 중도금, 잔금도 연체 중이다.
인천여상과 인천예고의 공간재구조화 사업도 타격을 받게 됐다. 낡은 학교 시설을 개축하고 리모델링하는 사업이다. 시공 주관사인 신동아건설이 빠지면서 사업 지연이 불가피하다. 더 큰일은 협력사로 참여 중인 지역 중소 건설사의 연쇄 부도 우려다. 인천 전문건설협회가 이들 사업 협력사와 피해 상황 파악에 나섰다고 한다.
인천에서는 지난해에만 168곳의 종합·전문건설업체가 문을 닫았다. 이 중 종합건설업체만 74곳이다. 자본금 등록 기준에 미달하거나 자금난 등으로 사업을 접었다. 지역 건설업체 폐업은 3년 연속 증가세다. 종합건설업체 폐업은 2022년 26곳, 2023년 29곳이던 것이 지난해 74곳으로 크게 늘었다. 전문건설업도 2022년 51곳, 2023년 80곳, 지난해 94곳이 폐업했다.
자본금 미달로 사업을 포기하고 자진 폐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건설 경기 악화가 길어져 일감을 따내지 못하면서 자본 잠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보증가능금액 기준도 채워야 한다. 그러나 자금난 악화로 이마저 충족하지 못하니 사업을 지속할 수 없다.
문제는 올해도 상황이 나아질 전망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자재·인건비 폭등에 고금리 유지 정책까지 악재가 수두룩하다. 여기에 정국 불안까지 건설경영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건설업은 전후방 연관 효과가 매우 큰 산업이다. 일자리 감소 등으로 서민경제까지 옥죈다. 도배·장판업이나 심지어 식당, 술집들까지 건설 경기에 흔들린다. 인천시는 상반기 중에나 활성화 계획을 검토한다고 한다. 너무 미온적이다. 건설 예산을 빨리 풀어 우선 일감을 늘려줘야 한다. 정부도 규제 다 풀고 금리 인하 등 정책수단을 다 써야 할 때다. ‘집값 부추길라’ 걱정은 그 다음 일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