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 중인 가정용 음식물처리기들의 작동시간·필터 탈취성능·유지비용에 차이가 있어 구매 시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23일 밝혔다.
소비자원은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주요 브랜드 제품의 품질·안전성·경제성 등을 시험평가했다. 그 결과 안전성은 모든 제품이 적합했지만 작동시간·필터 탈취성능·유지비용(연간 에너지·탈취필터 교체비용)에서 3~4배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시험평가 대상 브랜드는 ▲라이드스토 ▲리쿡 ▲매직쉐프 ▲신일 ▲스마트카라 ▲에코체 ▲쿠쿠 ▲휴렉 ▲휴롬 등 총 9개였다.
작동시간은 리쿡 제품이 3시간 13분으로 가장 짧았고, 휴렉 제품이 12시간 15분으로 가장 길어 최대 9시간 2분(약 3.8배)의 차이가 있었다.
필터 탈취성능은 초기 및 3개월 실사용 조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쿠쿠, 휴롬, 휴렉, 스마트카라, 신일 제품이 실사용 기간 3개월이 넘어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연간 에너지, 탈취필터 교체 비용 등 유지비용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연간 에너지비용(전기요금)이 가장 적게드는 건 라이드스토 제품으로, 주2회 사용 시 6천 원이 들었다. 반면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 제품은 휴렉으로, 2만4천300원이 드는 것으로 확인돼 최대 4배 차이까지 벌어졌다.
연간 탈취필터 교체 비용은 같은 횟수 사용 시 매직쉐프 제품이 4만6천 원으로 가장 적었고, 라이드스토 제품이 15만9천600원으로 가장 높아 두 제품 간 차이는 최대 3.4배였다.
제품의 감량성능 표시 방법에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법정 표시사항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으나 9개 중 8개 업체는 음식물 감량성능을 표준 음식쓰레기가 아닌 감량률이 높은 재료(오이·수박 등 수분 함량이 높은 음식)를 이용한 결과값으로 표시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