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상승에 침수피해 잇따라…인천앞바다 연평균 3.13㎜ 상승
인천 섬 지역의 해수면이 연평균 3.13㎜씩 상승함에 따라 도로가 바닷물에 잠기는 등 각종 침수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4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이 우리나라 연안 21개 조위관측소를 통해 해수면 상승 속도를 분석한 결과 인천 앞바다의 해수면은 지난 1989년부터 2023년까지 35년간 연평균 3.13㎜씩 높아져 총 10.9㎝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수면이 과거 10년간(2004~2013년) 약 2.8㎝ 상승(연 2.79㎜)한 것에 비해 최근 10년간(2014~2023년) 약 3.9㎝(연 3.88㎜) 높아지는 등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 상승이 빨라지고 있다.
이 같은 해수면 상승으로 연안 및 도서지역의 침수 피해가 잇따르는 등 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위협받고 있다. 서해 3대 어항 중 1개인 덕적도 북리항은 지난해 8~9월 대조기 때 바닷물이 도로와 주택 내부까지 차올라 주민들이 밤새 물을 퍼내는 등 많은 피해를 입었다. 이 밖에도 대청도·소청도·연평도·승봉도 등에서 도로 34곳, 물양장 17곳, 주택 5곳, 새우양식장 1곳 등 총 57곳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
해수면상승 시뮬레이터를 통해 해수면이 1.1m 상승할 시 인천의 침수 면적을 분석한 결과 14.96㎢로, 여의도 면적 대비 5.16배 규모의 침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옹진군의 방재 인프라는 물론 기후변화에 대응해 체계적으로 해수면을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전무하다.
이에 지역 안팎에선 우선적으로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해 피해 지역을 중심으로 방파제 및 테트라포트(T.T.P) 설치, 호안 피복석 정비 등 방재시설을 신속히 확충해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옹진군 등 섬 전역에 대한 정밀한 데이터 축적 및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신영희 인천시의원(국민의힘·옹진)은 “지금도 인천 도서지역 주민들은 침수 피해로 인해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며 “옹진군의 열악한 재정상 인천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밖에도 해수면 상승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담 기구(TF)를 신설하는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