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에 시내버스 요금 오르나…경기도 “고민중”

현재 서울보다 50원 저렴, 고물가 등 서민경제 영향 고심
용역 결과 ‘인상 불가피’ 결론... 이번에 오르면 6년만에 단행

image
버스 사진. 경기일보DB

 

경기도가 6년 만에 시내버스 요금 인상을 저울질하고 있다. 용역 진행 결과 인상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받아들어선데, 도는 고물가 등 서민경제를 고려해 인상 여부를 정하겠다는 입장이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23년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이 버스 요금 인상을 건의함에 따라 관련 용역을 진행했다. 그 결과 지난해 10월께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결과를 받았다.

 

도가 그동안 4∼5년 주기로 버스 요금을 인상해 온 만큼 시기적으로 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할 때가 됐다는 것이다. 현재 시내버스 요금(교통카드 기준)은 1천450원으로, 지난 2019년 9월 인상된 뒤 유지 중이다. 현재 요금은 서울(1천500원)보다 50원 저렴하다.

 

또 도가 지난해 1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경기도형 준공영제인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도 인상 요인이다. 도는 지난해 1천200대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도내 전체 시내버스 6천200여대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방침으로, 총사업비는 1조1천359억원에 달한다.

 

다만 이 같은 인상 요인에도 도는 선뜻 후속 절차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요금 인상을 위해서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공청회와 도의회 의견 청취 등을 해야 하지만 구체적인 일정도 정하지 못했다.

 

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할 경우 물가 인상 등 최악의 상황이라 불리는 서민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버스 업체의 재정 적자 등을 감안하면 요금 인상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어 고민하고 있다”며 “곧 요금을 인상할지, 재정 지원으로 버틸지 여부를 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내 버스업계는 지난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 이후 수요 감소와 원가상승으로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요금 인상 목소리를 내고 있다.

 

평일 기준 도내 대중교통 이용자 수는 코로나19 발생 직전 해인 2019년 300만1천18명이었으며, 2020년 215만9천97명으로 크게 줄었다. 또 코로나19로 수익금이 하루에 약 7억원 정도 감소, 누적적자로 인해 정상적인 노선버스 운영이 어렵다는 게 업계 주장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