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인에 무시·항의 시달려... “인천 노인 일자리는 괴로워”

금연 캠페인·주차계도 등 투입
권한 없어 고충 토로… 대책 시급

image
인천의 한 지자체의 노인일자리 중 하나인 주정차질서 정리 사업.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경기일보DB

 

금연 캠페인과 주차계도 등 인천지역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들이 민원인들의 무시, 항의 등에 시달리고 있다.

 

15일 인천 10개 군·구에 따르면 어르신들 중 주차계도나 금연 캠페인에 참여하는 인력은 1천600명 이상이다. 이들은 공익활동 조끼를 입거나 팻말을 들고 금연 구역과 주차 불가 지역을 돌면서 위반 시민들을 계도한다.

 

하지만 공무원들도 하기 어려운 민원인 직접 응대 활동인 데다 별다른 권한도 없다. 이 때문에 일부 시민들이 아예 무시하거나 강하게 항의하는 태도까지 보여 어르신들이 고충을 호소하고 있다.

 

남동구에서 주차계도 활동을 하는 A씨(72)는 “주차를 하지 말라고 해도 못들은 척 무시하는 경우가 대다수”라며 “무시하거나 단속원을 피해 주차하는 경우는 차라리 다행이다. ‘잠깐만 차를 댈 뿐’이라며 되려 항의를 해 올 경우에는 해코지 당할까 봐 무서워 자리를 피하고 싶다”고 호소했다.

 

이 때문에 미추홀구 등 일부 구는 지난해 불법 주정차 계도활동 인원 400명을 모두 빼 다른 사업에 투입했다.

 

전문가들은 근본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일자리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권정호 인천대학교 교수는 “쓰레기 줍기, 금연·주정차 계도 등의 노인 공익활동은 새로운 일자리 사업을 개발하지 못해 어쩔 수 없이 시키는 것”이라며 “노인일자리 사업을 늘리되 보다 고도화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일본이 전국 관광지에서 일하고 돈을 주는 리조바이트(리조트+아르바이트) 등의 일자리를 개발했듯, 차별화 한 일자리 개발이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어르신들과 민원인 간 말다툼이나 감정싸움이 잦은 게 현실이지만 관련 법도 미비하고 민원이 들어오면 지자체와 노인인력개발원 등에 떠맡겨져 어르신들에게 최대한 갈등을 피하라는 쪽으로 교육할 수 밖에 없다”면서도 “노인들이 일하기에 안전하면서 지역사회에 도움이 될 만한 일자리를 찾는 등 대책을 마련해 보겠다”고 해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