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반쪽짜리 기숙사’ 비판 쇄도... “정치권 개입 탓”

총학생회 “시·시의회 무책임한 태도에 주거권 침해”

최근 인하대학교와 기숙사신축반대비상대책위원회의 합의로 폐쇄가 결정된 1기숙사(웅비재) 전경. 장민재기자
최근 인하대학교와 기숙사신축반대비상대책위원회의 합의로 폐쇄가 결정된 1기숙사(웅비재) 전경. 장민재기자

 

인하대학교의 새 행복기숙사 건립이 종전 제1기숙사(웅비재)의 폐쇄에 따른 반쪽짜리로 전락(경기일보 2월7일자 7면)한 가운데, 인하대 총학생회가 행복기숙사 신축 과정에서의 인천시와 정치권의 개입 탓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인하대 총학생회는 10일 “이봉락 인천시의원(국민의힘·미추홀3)과 이관호 미추홀구의원(국민의힘·다 선거구)이 나서면서 인천시의 행복기숙사 신축 관련 행정절차가 늦어졌다”며 “더욱이 인천시 등은 학교측에 주변 주민들로 이뤄진 비상대책위원회와 합의가 이뤄져야 관련 행정절차인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승인해주겠다며 압박을 가했다”고 밝혔다.

 

인하대는 지난 2023년부터 행복기숙사 신축을 준비했지만, 학교 후문의 원룸 소유주 등이 꾸린 비대위가 강하게 반발하면서 차질을 빚어왔다. 이후 지난 1월24일 학교와 비대위는 웅비재를 폐쇄하는 조건 등을 담아 행복기숙사를 건립하는 내용의 ‘행복기숙사 신축 관련 상생 방안 이행합의서’에 서명했다.

 

총학생회는 “행복기숙사의 착공이 늦어지면 대학 교비회계에서 해마다 사학진흥재단에 수십억원의 지연 이자를 부담해야 한다”며 “이 때문에 학교와 함께 시와 시의회에 도시관리계획의 신속한 통과를 지속적으로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비대위 반대와 시와 시의회의 무책임한 태도로 행복기숙사 신축이 늦어졌고, 결국 학생들만 주거권을 침해 당했다”고 주장했다.

 

총학생회는 “최근 이뤄진 대학과 비대위의 합의는 말만 상생일 뿐, 결국 대학만이 양보하는 결과를 낳았다”며 “기숙사 착공이 늦어지면 학생들의 등록금을 부채 지출로 낭비할 수 없다는 절박함 속에 학교는 양보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특히 총학생회는 이번 문제에 시와 시의회의 해결 의지가 전혀 없었다고 비판했다. 총학생회는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 2022년 지방선거 당시 ‘인천시의 인하대 홀대론’을 일축하고 앞으로 함께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며 “하지만 총학생회가 1천700여명의 행복기숙사 신축에 관한 연대 서명을 제출했는데도 이를 무시, 오히려 다시 인하대를 홀대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청 앞에서 집회하지 않고, 길거리 곳곳에 현수막 달지 않았다는 이유로 내팽겨친 것”이라며 “인천시와 시의회는 학생들의 주거권을 외면한 무책임한 태도를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성보현 총학생회장은 “이달 말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총학생회와 시의 입장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미팅이 예정되어 있다”며 “시는 교육기본법 상 건립시책 수립이 의무로 정해진 기숙사를 빨리 건립하겠다는 확답으로, 대학생들의 주거복지를 버리지 않겠음을 분명히 선언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하대, 기숙사 확충 ‘반쪽짜리’ 전락…사실상 ‘새 건물’로 교체 수준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206580354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