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구체적 추진 전략 마련해야”
인천 개항의 시작점인 제물포를 중심으로 일대 원도심을 개발해 인천을 문화와 관광, 산업이 융합하는 ‘세계 초일류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이 3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 대표 원도심인 내항(옛 제물포) 및 중·동구 일대를 탈바꿈 시키는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민선 8기 유정복 인천시장이 취임 직후 대대적으로 발표한 1호 공약이다.
그러나 여전히 사업 일정이나 추진 주체, 재원조달 방식 등 구체적인 사업 계획도 없이 관련 용역만 추진하는 등 ‘장밋빛 청사진’에 불과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제물포 르네상스의 핵심인 인천항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은 물론 종전 원도심 지역의 노후화한 빈집 정비사업 등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중구와 동구는 30년 이상 노후건축물이 6천605채(40.8%)에 이르고, 20년 이상 30년 미만 건축물도 1천995채(12.3%)나 있다.
특히 제물포 ‘르네상스’라는 이름을 갖추고 있음에도 관광 및 상업 중심의 개발 계획만 있을 뿐 지역이 갖고 있는 역사 문화 및 자산 보존에 대한 세부 지침 또한 없다. 현재 중·동구 지역에는 개항기,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등 근현대 시기에 형성된 역사 문화자원이 많다. 인천시립박물관에서 조사한 근현대 도시유적 총 530개 중 446개(84%) 이상이 중·동구 원도심 지역에 분포해 있다.
이 밖에도 광역 교통망 확충 등 일대 교통 인프라 개선을 위한 세부 계획 마련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관광객을 유치할 킬러 콘텐츠도 부족하다.
이 같은 실현 계획의 구체성 부족은 사업이 중간에 표류되거나 정치적 이슈로 변경될 가능성이 매우 큰 만큼,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실현시키기 위한 현실적인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박종혁 시의원(더불어민주당·부평6)은 “과거 내항 개발 및 원도심 프로젝트 등이 지연된 사례 등을 봤을 때 이번 프로젝트 또한 장기화하거나 일부 구역만 개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계획만 많은 도시개발 사업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단순한 재개발이 아닌 도시재생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명확한 목표와 차별화한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준성 시 글로벌도시국장은 “아직까지 구체적인 추진 전략이 없고 계획 등이 모호한 것은 사실”이라며 “지적을 귀담아 듣고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