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아동돌봄시설 보내는 도내 학부모들 최근 ‘좌불안석’ “교사 정신건강 검증 제대로 해야”
대전의 한 초등학생 피살 사건 이후 어린이집과 아동돌봄시설에 자녀를 보내는 경기도내 학부모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퍼지고 있다. 도내 보육교사나 돌봄교사(생활복지사)들도 아이들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안전을 강화할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만 0세부터 만 5세의 취학 전 아동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도내 어린이집은 총 8천903곳으로, 9만193명의 보육교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또 지역아동센터 등 아동돌봄시설에서 근무하는 돌봄교사는 총 2천278명이다.
도는 아이들과 밀접하게 접촉해야 하는 보육교사와 돌봄교사 등을 대상으로 정신겅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의무가 아닌 선택이어서 적극적인 상담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경기도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는 보육교직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적 어려움을 완화하고자 집단상담 및 개별 상담을 진행하고 있지만 지난 해 심리 상담을 받은 보육교직원은 3천632명뿐이다. 돌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심리 프로그램은 더욱 있으나 마나 한 상황이다. 일이 힘들다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돌봄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가의 상담 강의를 제공하고 있지만, 지난해 신청자는 20명 안팎에 그쳤다.
보육교사와 돌봄교사의 인원 대비 상담 등 지원을 신청하는 이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것인데, 도내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학교뿐 아니라 아이들이 장시간 머무르는 시설에서도 정신건강 검증이 제대로 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8살 자녀를 돌봄교실에 보내고 있다는 도내 학부모 A씨는 “아이들에게 가장 안전해야 할 학교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나 부모로써 충격이 크다”며 “아이를 대하는 직종은 정신 건강 검증이 확실히 돼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부모 B씨도 “맞벌이를 하기 때문에 자녀를 지역아동센터에 보내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걱정이 많다”며 “아이들을 안전하게 믿고 맡길 수 있도록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에 도는 아이들과 밀접하게 접촉해야 하는 아동시설 등은 의무적으로 정신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을 계기로 각 시·도의 아동 관련 시설 종사자의 정신건강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며 “정신건강 상담이나 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교육청에서도 방과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 돌봄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늘봄학교의 안전을 촘촘하게 살피기로 했다. 학교가 원하는 수요만큼 자원봉사자를 지원해 학생인솔, 하교지도, 학생 안전 지원을 강화하고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지원할 보조강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