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비상계엄, 부정선거 의혹 규명하기 위한 것”

김용현 “부정선거로 나라 위태”

황교안 전 국무총리(오른쪽 두번째부터), 민경욱 전 의원,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의 변호인인 이하상 변호사가 14일 국회에서 비상계엄과 부정선거와 관련한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전 국무총리(오른쪽 두번째부터), 민경욱 전 의원,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의 변호인인 이하상 변호사가 14일 국회에서 비상계엄과 부정선거와 관련한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민경욱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의원은 14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제21대 총선의 부정선거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황 전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이 제시한 2020년 4·15총선 당시 인천 연수을 투표자수 검증 요청을 두 차례 모두 기각했다”며 “이는 오히려 윤 대통령의 부정선거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계엄 발령의 당위성을 강하게 뒷받침해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그는 윤 대통령과 직접 나눈 이야기라며 “(대통령이) 검찰총장을 해보니까 부정선거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어느 지역이 어떻게 이상하다고 하셨다. 그런데 검찰총장을 그만두면서 그 뒤로는 확인하지 못했다는 취지로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시 선관위에는 297명의 계엄군이 배치됐고 이 숫자는 국회 투입 병력인 280명을 상회한다”며 “비상계엄의 방점이 국회보다 선관위에 찍혀 있음을 방증한다”고 덧붙였다.

 

민 전 의원도 “윤 대통령이 김규현 국가정보원장을 만났을 때 본인의 지난 대선과 관련 ‘(내가) 큰 차이로 앞서고 있는데 어떻게 (당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게) 0.73% 차이로 이겼는지 의문’이라는 취지로 말씀하셨다”고 밝혔다.

 

또 21대 총선 당시 몇몇 선거구에서 일장기 투표지, 배춧잎 투표지 등이 쏟아졌음에도 선관위가 선거무효소송을 기각했다며 부정선거 의혹이 규명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부정선거의 실태를 온 국민이 알게 됐다면 22대 총선이 또 다시 부정으로 치러지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러면 윤 대통령도 고뇌 끝에 비상계엄을 결심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법률대리인인 이하상 변호사를 통해 기자회견에 동참, 메시지를 전달했다.

 

김 전 장관은 “여러분이 사랑하는 자녀의 몸속에서 곧 암 덩어리로 진화될 수 있는 악성종양이 발견됐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며 “지금 여러분이 사랑하는 대한민국은 악성종양 수준을 넘어 암 덩어리가 발생해 나라의 미래가 위태로운 상황이고, 그 암 덩어리는 바로 부정선거”라고 주장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