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입시 비리 등으로 수감 중인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가 범야권의 연대를 다시 한 번 강조하고 나섰다.
조 전 대표는 지난 14일 '12·3 비상계엄이 성공했더라면'이라는 제목의 옥중 서신에서 "나를 포함한 국회의원들은 물론, 언론인과 종교인 등은 '수거'돼 '반국가 활동'을 했다는 자백을 강요받고, 국무위원들은 계엄 필요성을 강조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아찔했던 계엄 선포 당시를 떠올렸다.
이어 "윤석열이 파면되더라도 윤석열을 대통령으로 만들고 정권을 차지한 세력은 그대로"라며 "이들이 재집권하면 윤석열은 특사를 받고 석방되어 전직 대통령 직함을 달고 활보할 것이니 국민과 야당은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위대한 국민의 결단과 행동으로 끔찍한 사태는 현실화되지 못했지만, 전혀 변하지 않고 전혀 반성하지 않는 세력이 엄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윤석열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에서 '경고성 계엄'이라는 희한한 궤변을 펼쳤고, 책임을 하급자에게 미루는 비겁자의 모습을 드러냈다"고 비판하면서 "12·3 비상계엄 후 대부분의 국무위원은 윤석열과 선을 그었고, 윤석열을 '조직의 대통령'으로 자랑스러워했던 검찰은 윤석열을 기소했으며, 윤석열 대통령 만들기에 앞장섰던 보수언론도 윤석열을 비판하고 있다"고 적었다.
그는 "1987년 YS와 DJ의 단일화 무산으로 노태우가 대통령이 됐고, 2012년 시너지 효과 없는 문재인·안철수 단일화로 박근혜가 대통령이 됐으며, 2022년 이재명과 심상정의 단일화 무산으로 윤석열이 대통령이 됐다"며 단일화 불발로 집권에 실패한 사례들을 언급했다.
조 전 대표는 "실제 대선이 결정 나면 결집 현상은 가속화될 것이고, 종국은 51대 49의 싸움이 될 것"이라며 "12·3 내란에 반대하고 민주 헌정 회복을 추구하는 세력이 뭉쳐 내란을 옹호하거나 방조한 세력을 고립화시켜야 한다. 조국혁신당, 민주당 등 진보성향 정당 외, 보수성향 개혁신당까지도 같이 할 수 있길 희망한다. '연합'이 승리의 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선 이후 새로운 대한민국의 비전과 정책에 대한 논의와 공통공약을 추출해야 하며 여기에 12·3 이후 광장에서 촛불과 응원봉을 든 주권과 국민의 요구와 꿈이 반영되야 함은 물론이다"라며 "연합정치는 '새로운 다수'를 형성할 것이고, 이 '새로운 다수'가 대한민국 2.0을 열고 또한 책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