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헌 국회의원,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문제 있다며 건축허가 절차 중단 촉구 시, 강요 있을 수 없고 적법하게 진행됐다고 반박
고양 등 경기 서부권에서 주민들이 전자파 우려 등으로 데이터센터(DC) 건설에 반발(경기일보 2024년 8월26·28일자 1·3면)하는 가운데 문봉동 DC 관련 도시계획위 심의 결과에 지역 정치권이 반발하면서 또다시 몸살을 앓고 있다.
1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더불어민주당 이기헌 국회의원과 민주당 고양병 지역위원회 시의원들은 성명서를 내고 지난 12일 열린 일산동구 문봉동 DC 관련 도시계획위원회 3차 심의에서 앞서 제기됐던 ‘층간 높이’ 및 ‘주민 반대’ 등 주요 사안이 해결되지 않은 채 안건 심의가 강행 처리돼 가결이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또 이정화 제2부시장이 위원회에 이례적으로 직접 참석해 개인 일정을 전제로 충분한 토론 기회를 제공하지 않은 채 표결을 강행했다며 건축허가 절차 중단을 촉구했다.
시는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도시계획위 심의를 시가 강요하는 건 불가능하다. 12일 심의에서도 민간위원들이 자유롭게 발언했다”며 “이정화 부시장의 위원회 참석이 이례적이라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 부시장의 최근 도시계획위 참석률이 50% 넘는다”고 반박했다.
이번 논란의 중심인 문봉동 DC는 지난해 9월 건축허가 신청이 접수됐으며 문봉동 16-2번지 외 24개 필지에 연면적 4만8천462㎡, 지하 3층, 지상 4층, 건물 높이 41.45m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신영그룹에 속한 신영에스앤디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인 신영문봉피에프브이를 설립해 사업을 추진 중으로 당초 지난해 건축허가를 완료하고 올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추진됐다.
지역 정치권은 다수 주민이 반대하고 있다며 시는 건축허가를 내줘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앞서 문봉동 주민 3천149명은 반대 서명서를 제출했으며 DC가 들어서면 문봉동에 현재 운영 중인 요양시설 일곱 곳이 붕괴할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신영 측 관계자는 “대다수 주민은 반대 서명을 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돼 반대 서명서의 진위가 불분명하다”며 주민 반대는 사실이 아니라는 상반된 주장을 내놨다. 또 DC 주변에 문제 없이 운영 중인 요양병원이 많다며 요양산업 붕괴 주장은 과장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신영문봉피에프브이는 17일 마을회와 상생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 관련기사 : 경기서부 ‘데이터센터’ 봇물에… 커지는 갈등 [로컬이슈_ 서부권 리포트①]
https://kyeonggi.com/article/20240825580182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