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영풍 측이 고려아연 기타비상무이사 후보로 추천한 김광일 MBK 부회장이 국내에서만 18곳의 등기임원직을 겸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고려아연 이사회까지 합류하게 되면 그의 겸직 수는 19개로 늘어나며, 중국 등 해외 인수 기업까지 포함하면 20곳을 훌쩍 넘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김 부회장이 강조하는 '거버넌스 개선' 주장이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그간 기타비상무이사는 겸직 제한 규정이 없어 직책을 무제한으로 늘리는 ‘문어발 겸직’이 가능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규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롯데카드, 오스템임플란트 등 MBK가 인수한 기업들의 공시 자료에 따르면 김 부회장은 대표이사 1곳, 공동대표이사 2곳, 사내이사 1곳, 기타비상무이사 13곳, 기타비상무이사 겸 감사위원 1곳 등 총 18개의 직책을 맡고 있다. 특수목적법인(SPC)을 제외하더라도 그의 겸직 수는 9개에 이른다.
주요 직책으로는 ▲홈플러스 대표이사 ▲딜라이브 기타비상무이사 ▲딜라이브 강남케이블TV 기타비상무이사 ▲네파 기타비상무이사 ▲엠에이치앤코 기타비상무이사 ▲롯데카드 기타비상무이사 ▲오스템임플란트 기타비상무이사 ▲오스템파마 기타비상무이사 ▲메디트 기타비상무이사 등이 포함된다.
국내 3대 의결권 자문사인 서스틴베스트는 “과다한 겸임으로 인해 기타비상무이사로서 충실의무를 다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며 김 부회장의 고려아연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안에 대해 반대 의견을 권고했다.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인 글라스루이스, 한국ESG연구소, 한국ESG평가원 등도 김 부회장의 이사회 합류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고 있다.
MBK-영풍 측은 김 부회장의 경력을 강조하며 “MBK 주요 투자 실적 건 기업의 인수합병과 투자 전략 수립을 주도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법률적 전문성과 재무 전략 능력을 고려했을 때, 고려아연의 중장기 비전 실현 및 경영 안정화를 위한 최적임 후보”라며 김 부회장이 기업 성장과 가치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김 부회장의 경영 능력에 대한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그가 등기임원으로 활동하는 기업들에서 각종 사건사고가 발생한 점이 지적된다.
서스틴베스트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SSM사업부문(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은 2017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약정 없이 가격 할인 행사를 실시하며 납품업자들에게 약 17억원의 판촉 비용을 전가하고, 계약 서면을 지연 교부하는 등 대규모유통업법을 위반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24억1천6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김 부회장은 2009년부터 2010년, 2015년부터 2024년 1월까지 홈플러스 기타비상무이사를 맡았으며, 2024년 1월부터는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또한, 김 부회장이 2019년 10월부터 기타비상무이사를 맡고 있는 롯데카드에서는 직원 2명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부실 협력업체와 제휴 계약을 체결해 105억원을 지급하고,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66억원을 돌려받아 배임 혐의로 고발된 사건이 발생했다.
서스틴베스트는 이 사건에 대해 과징금과 처분 규모 등을 고려해 참고 사항으로 기재했지만, 김 부회장의 책임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될 전망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