맡길 곳 없어 ‘늘봄’ 보냈는데… ‘대면 인계’ 엇갈린 시선

교육부-교사·학부모 엇갈린 시선
교육청 “인력 충원 차질없이 진행”
학부모 “퇴근시간 상이… 실효성↓”
교사 “늘봄 운영 자체 인력도 부족”

image
지난 18일 국회에서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과 관련해 현안질의 등을 위해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 이후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오는 3월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전면 도입되는 늘봄학교 안전 대책으로 대면 인계 시스템을 내놓은 가운데 경기교육 현장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인력 충원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경기도교육청과 실효성 의문을 제기하는 교사·학부모간 시각차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인데 전문가들은 현장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유연한 방침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1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교육청은 ‘늘봄학교’ 안전 강화를 위해 교사가 학부모에게 하교 학생을 직접 보여주는 대면 인계 시스템을 위해 추가적인 인력 확충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4일 ‘늘봄학교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의 대면 인계·동행 귀가를 원칙으로 도우미 인력이 학생을 인수해 보호자나 보호자가 사전 지정한 대리인에게 대면 인계하는 체계를 갖추겠다’는 이주호 장관 발언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현재 도교육청은 시·군교육지원청과 각급학교에 공문을 보내 추가적인 늘봄학교 인력에 대한 수요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2학기에도 추가 인력 모집에 대한 안내가 이뤄질 예정”이라며 “안전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채용과 동시에 시·군 교육지원청마다 배치된 늘봄지원센터를 통해 이들에 대한 역량 강화 역시 꾸준히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학부모마다 퇴근 시간이 달라 일일이 대면 인계가 어렵고, 각 학교에서 운영하는 늘봄학교 시간도 상이해 실효성 있는 대책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도내 학부모 A씨는 “일이 늦게 끝나 오후 3~4시에 수업이 끝난 아이가 늘봄학교를 마치면 자율적으로 하교하도록 했는데 얼굴 보고 데려가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혹시 모를 돌발 상황을 위해서라고는 하지만 누군가 아이를 직접 데려오라는 것은 육아 부담 해소를 위해 만들어진 늘봄학교 취지와 맞지 않는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특히 일선 교사들은 도교육청이 늘봄전담실장을 비롯해 늘봄학교 운영 자체에 필요한 인력도 100%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추가 인력이 필요한 정책이 도입될 경우 그 부담은 기존 교사들에게 올 것이라는 우려도 쏟아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대면 인계 방침은 부모와 교사, 그리고 학교에 큰 불편으로 다가올 것”이라며 “현실성 없는 방식에서 벗어나 각 지역과 학교 상황에 맞는 인계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