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 겸직’ 김광일 MBK 부회장, 경영관리 부실 논란 확산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연합뉴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연합뉴스

 

MBK파트너스 김광일 부회장이 18개 기업에서 기타비상무이사 등 주요 직책을 맡으며 겸직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이번에는 경영관리 부실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A 카드사에 대한 수시검사에 착수하면서 김 부회장이 과도한 겸직으로 내부통제 실패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부회장은 MBK파트너스를 대표해 A사에서 주요 직책을 맡고 있다. 특히 의료기기 제조사인 B사에서는 김 부회장이 이사회 산하 윤리경영위원장을 맡고 있음에도 전·현직 대표의 비위 문제가 잇따라 발생했다. 동시에 유통기업 C사에서 대표이사를 겸직하고 있는 그는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경영 능력 부족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MBK파트너스가 자금을 기반으로 기업 인수와 거버넌스 개선을 강조해왔으나, 실질적인 경영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금감원은 최근 A사에 대한 수시검사를 진행하며 내부통제 문제를 집중적으로 점검 중이다.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서는 A사가 대출 원리금 연체 관련 충당금을 제대로 적립하지 않고 잘못된 회계 처리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로 인해 팩토링(외상매출담보대출) 영업중지 등의 제재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A사 이사로 활동 중인 김 부회장이 경영 감시 의무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그는 2019년 10월 MBK파트너스가 약 1조3천810억원을 들여 A사 지분 79.83%를 인수한 이후 기타비상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금융위와 금감원도 지난해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개정에서 이사회가 내부통제에 대한 최종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명확히 한 바 있다.

 

B사에서도 김 부회장의 관리 부실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B사 전 대표는 지난해 3월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등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다. 그는 회사의 영업이익 급등 및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 정보를 내부 보고로 파악한 뒤 차명계좌로 주식을 매수해 부당 이득을 챙겼다. 이와 함께 주식 변동 내역과 지분 소유 상황 보고 의무, 단기매매차익 반환 의무도 이행하지 않았다.

 

MBK파트너스는 2023년 1월 B사를 인수했고, 김 부회장은 3월 주주총회에서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됐다. 이후 10월 윤리경영위원장으로 취임했으나, 9개월간 회의는 단 한 차례만 열렸고 다룬 안건도 2023년 윤리경영 실적 보고에 그쳤다. 겸직 과다로 위원회 운영이 사실상 유명무실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김 부회장이 관여한 기업들의 실적 부진 역시 그의 경영 역량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키고 있다. A사의 지난해 1~3분기 순이익은 1천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감소했다. B사도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이 785억원으로 전년 동기 1천664억원에서 절반 이하로 줄었다.

 

특히 김 부회장이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C사의 경영 실적은 더욱 심각하다. MBK파트너스가 2015년 9월 7조2천억원에 인수한 이후, C사 매출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4 회계연도의 8조5천682억원에서 2023 회계연도 6조9천315억원으로 19.1% 감소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연속 영업 적자를 기록했고, 자본총계는 2015년 2조2천958억원에서 지난해 2천653억원으로 88.4% 급감했다.

 

이런 상황에서 MBK파트너스가 최근 추진 중인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에 대한 업계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재계에서는 경영관리 부실과 역량 부족으로 비판받는 김 부회장이 국가기간산업인 고려아연을 제대로 경영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