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창 인천시의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대책 마련 촉구
인천 송도·영종국제도시를 비롯한 신도심과 중·동구 등 원도심 간 교육 격차가 심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용창 인천시의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열린 제30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인천 전체 특목고와 자사고에 진학한 학생의 절반 이상은 송도와 영종에 사는 학생이다”며 “반면 중·동구 원도심 지역은 특목고와 자사고 입학 학생을 모두 합쳐도 4% 미만”이라고 설명했다.
23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 전체 특목고 또는 자사고에 진학한 1천179명 중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와 중구 영종국제도시, 서구 청라국제도시에 사는 학생은 총 648명(54.9%)에 이른다.
특히 송도지역 중학교 졸업생 2천537명 중 외국어고·국제고·자사고·과학고에 입학한 학생은 411명(16.2%)으로 가장 높았다. 영종국제도시가 1천84명의 재학생 중 145명(13.3%)이, 청라국제도시 1천630명 중 92명(5.6%)의 학생들이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영종국제도시를 뺀 중구는 졸업생 538명 중 5명(0.9%)이 진학했고, 동구지역은 졸업생 398명 중 4명(1%) 뿐으로 나타났다. 그외에도 남동구 서창은 261명 중 10명(3.8%), 서구 검단은 756명 중 19명(2.5%) 등으로 지역의 교육 격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계에서는 이 같은 지역별 교육 격차는 학원 사교육과 학교 시설 등의 교육 인프라 차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시교육청은 지역별 교육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균형발전 5개년 계획’을 세워 낡은 학교 시설을 중심으로 시설 인프라를 개선하고 있지만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용창 인천시의원은 “우리나라 교육에서 사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특정 지역의 아이들이 경제 요건으로 꿈을 접는 상황은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시교육청은 지금의 방안외에도 지역 간 교육격차를 줄일 장기 계획을 마련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역별 특목고·자사고의 입학률은 여러 요인이 섞여 시교육청에서 해결 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일단 교육 환경 구축 등 인프라 개선으로 최대한 원도심 아이들도 놓치지 않는 교육을 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