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대학원생들, 임태희 교육감에 '인공지능·대학입시 개혁' 질문세례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미국 하버드생들과 질의응답. 경기도교육청 제공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미국 하버드생들과 질의응답. 경기도교육청 제공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26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 하버드대에서 하버드대 학생들과 교수 등 150여명을 대상으로 ‘한국(경기도) 교육의 교육개혁: 학생 맞춤형 교육과 인공지능의 역할’을 주제로한 특강에 이어 질의응답(Q&A)이 진행됐다.

 

학생들의 주된 질문은 ‘인공지능(AI)’와 ‘대입개혁’에 집중됐다. 하버드대 교육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맥스 학생은 “인공지능(AI)에 관심있는 경기도 학생들은 어떠한 교육을 받고 있는지 궁금하다”고 질문했다.

 

이에 대해 임 교육감은 “학교에서 배우기 어려운 교육을 ‘경기공유학교’에서 받고 있다”면서 “예로 성남 판교 인근 학생은 세계적인 기업의 인공지능(AI) 전문가에게 배우기도 하고, 부천 학생은 인공지능을 기초로 한 로봇 분야의 교육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 계열의 하버드 교육대학원생 라니친 디살레 학생은 “경기도 학교에 인공지능(AI) 교육이 도입되기 전과 후의 모습이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인공지능(AI) 기반 교수학습 플랫폼 ‘하이러닝’이 개발되면서 학생 개개인은 자신의 수준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됐다”면서 “학생들에게 1인 1스마트 기기를 제공하고, 학교에 10기가바이트(GB)급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디지털 인프라 확충에도 적극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갖는 또 하나의 관심은 경기도교육청이 추진하는 ‘대학입시 개혁’에 있었다.

 

미술사학을 공부하고 있는 이지원 학생은 “정답 맞히기, 줄 세우기 방식으로 좋은 대학 진학만을 목표로 하는 한국의 입시제도를 바꾸려는 노력에 많은 관심이 간다”고 말했다.

 

로스쿨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김지현 학생은 “교육 1, 2, 3 섹터로 공교육의 확장을 제시하는 새로운 경기교육과 대학입시 개혁 노력이 저항에 부딪혀도 흔들림 없이 지속되길 바란다”면서 “임기가 정해져 있는 교육감으로서 경기교육이 펼치고 있는 이 정책들이 계속 이어질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이에 임태희 교육감은 “학생, 학부모, 교사의 공감대 위에서 추진하는 좋은 정책은 교육감이 바뀌더라고 바뀔 가능성이 거의 없을 것”이라며 “유네스코와 하버드대에서까지 전 세계에 소개한 좋은 정책인데, 누가 함부로 바꿀 수 있을까요”라고 웃으며 질의응답을 마무리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