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 수가 늘어나는 반전이 나타났지만 지속되는 인구 감소 추세를 막지는 못했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인구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는 12만명 자연감소했다. 출생아 수가 23만8천명으로 전년보다 8천명 증가했으나 사망자 수(35만8천명)가 여전히 출생아 수를 웃돌았다. 이 때문에 인구는 2020년 첫 자연감소 후 5년 연속 줄었다. 자연감소 폭은 2020년 -3만3천명에서 2021년 -5만7천명으로 늘어난 뒤 2022년 -12만4천명대 부터 지난해까지 3년째 -12만명대를 기록했으며 최근 5년간 인구 감소 누계는 45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출생아 수 감소세도 이어지고 있다. 출생아 수는 1990∼1994년 352만7천명에서 2000∼2004년(266만9천명) 200만명대로 내려왔으며 이후 2005∼2014년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감소세는 2015∼2019년부터 가팔라져183만2천명을 찍고 2020∼2024년에는 125만명까지 줄었다. 출생 근간이 되는 결혼 역시 비슷한 흐름이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22만2천건으로 2019년(23만9천건) 이후 가장 많았지만, 최근 5년간 누적으로는 역대 최소 수준으로 집계됐다.
일시적 출산율 반등에도 장기적인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된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 2022년 5천167만명에서 2030년 5천131만명으로 줄어든 뒤 2072년에는 1977년 수준인 3천622만명까지 축소될 전망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의 경우 2072년에 절반 수준인 47.7%까지 커진다. 비관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한 저위 추계에서 2072년 인구는 3천17만명까지 줄어드는 데, 이는 1967년의 인구 수준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