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밀수선, 중국 선박 충돌로 다수 사망 의혹…양국 모두 ‘쉬쉬’

북한 선원 15~20명 사망 추정, 중국 선박 피해는 경미
소식통 "북한 선박, 석탄 과적으로 침몰 추정"

image
파주시 접경지역의 남북초소.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경기일보DB

 

지난달 말 북한의 밀수선이 중국 밀수선과 충돌해 침몰, 북한 선원이 20명 가까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양측 배가 모두 밀수선인 만큼, 북한과 중국 모두 제재 위반 사실이 알려지는 것을 꺼려해 해당 사건을 쉬쉬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3일 대북 소식통은 지난달 말 중국 남동부의 한 항구 근처에서 석탄을 실은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화물선이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끈 채 항해하다 중국 선박과 충돌한 후 침몰했다고 전했다.

 

여기서 AIS는 선박의 위치·속도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신호를 송출하는 장치다.

 

북한산 석탄 수출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2371호 제8항) 위반인데, 이 때문에 북한 선박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감시를 피하기 위해 수시로 AIS를 끄고 항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가 발생한 중국 남동부 서해 수역도 북한 화물선이 석탄 밀수출을 할 때 자주 이용하는 항로다.

 

당시 사고가 난 지점에서는 안개가 짙게 끼어 시야 확보가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로 인해 중국 화물선이 AIS를 끈 채 항해하는 북한 화물선을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후 중국 당국은 구조작업을 펼쳤으나 북한 선박 쪽에서는 일부만 구조되고 선원 15~20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 선박 쪽에서의 피해는 경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소식통은 연합뉴스에 “당시 북한 선박에는 석탄이 과적돼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화물도 선박과 함께 모두 가라앉았다”며 “이번 사고가 북한에 악재임은 물론 제재 위반을 묵인한 중국 측에도 골치 아픈 일이기 때문에 사고 소식을 숨기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10명 이상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고였음에도 북한과 중국 당국 모두 이를 발표하지 않고 있는 것이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

 

홍제환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재 이전에도 석탄은 북한의 대중 주요 수출품목이었고 지금도 중국 내 수요가 많다”며 “중국이 판단에 따라 단속의 강도를 조절하기도 하지만, 서해의 밀수를 전부 단속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도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 화물선이 중국 선박과 충돌한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지난 2017년 3월에는 위치 정보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북한 화물선이 중국 남동부 장쑤성 롄윈강항 인근에서 중국 배와 충돌해 침몰한 바 있다. 당시 선원들은 모두 구조됐고, 중국 교통부도 사고 사실을 발표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