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숙 시의원, “지역 맞춤형 노인의료돌봄체계 필요” [인천시의회 의정24시-의정MIC]

의료·돌봄 연계 서비스 부재... 해결 위해 ‘통합협력체’ 필요

인천시의회 장성숙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 인천시의회 제공
인천시의회 장성숙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 인천시의회 제공

 

“효율적인 의료 돌봄 모델은 결국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는 형태로, 함께 참여하는 방식이 적절하다고 봅니다.”

 

인천시의회 장성숙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13일 “인천의 특성을 반영한 노인의료돌봄체계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25년 만에 최단기로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에서 노인 의료돌봄은 중요한 정책 과제 가운데 하나다. 정부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2026년부터 추진하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지역사회에서 의료와 복지를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인천 또한 고령화가 빠르게 이뤄지는 지역 중 하나로, 노인 의료돌봄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장 의원은 “현재 인천시 돌봄지원 사업은 방문의료사업과 방문돌봄사업으로 단순하게 각각의 복지 서비스에만 치중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질적으로 의료와 돌봄을 상호 연계할 수 있는 서비스의 부재가 가장 큰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료 지원을 포함한 통합 돌봄 협력체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역 의료기관과 요양시설, 복지센터 등이 협력하는 ‘다학제 돌봄 모델’을 통해 의료와 돌봄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체계를 갖추고,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는 제언이다.

 

image
인천시의회 장성숙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 인천시의회 제공

 

장 의원은 시의회에서 ‘인천형 지역통합돌봄 연구회’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다. 그는 “효율적인 의료 돌봄 모델은 결국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는 다학제 형태로, 함께 참여하는 방식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장 의원은 지역 기반 다학제 통합 돌봄 협의체 구성, 찾아가는 노인 건강관리 서비스 확대, 마을 단위별 노인 건강 돌봄센터 필요, 공공의료 인프라 강화 및 필수 의료 지원 확대 등을 제안했다.

 

장 의원은 “인천시와 10개 군·구, 의료기관, 복지센터, 비영리단체 등이 참여하는 ‘다학제 협의체’를 구성해 노인 의료돌봄 정책을 효과적으로 조율·시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위해 방문 진료, 방문 간호, 재활 치료 등의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의사를 비롯한 의료진과 복지사가 팀을 이뤄 주기적으로 노인을 방문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장 의원은 “각 지역별로 소규모 건강 돌봄센터를 운영해 노인들의 거주지 주변에서 쉽게 의료 상담과 복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사회적 교류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해 고립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인천형 의료돌봄 모델이 실효성을 가지려면 의료돌봄 관련 기관 단체, 또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천시의회 ‘인천형지역통합돌봄연구회’에서도 연구용역을 할 계획”이라며 “노인 의료돌봄은 단순한 복지 차원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함께 풀어가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모든 시민이 건강하고 존엄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이자 꿈”이라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