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광역버스 증차로 출퇴근길 숨통… 배차간격 단축

지난해 11월15일 이른 아침부터 M6405번 광역버스를 타기 위해 시민들이 길게 줄서 기다리고 있다. 장민재 기자
지난해 11월15일 이른 아침부터 M6405번 광역버스를 타기 위해 시민들이 길게 줄서 기다리고 있다. 장민재 기자

 

인천시는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후 지속적인 증차를 통해 배차간격을 단축하고 시민 교통편의를 높였다고 18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2024년 10월15일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 당시 179대였던 차량을 244대로 확대해 운행률 70%를 이뤄냈다. 이에 따라 출퇴근 시간대 배차간격을 평균 8분 단축하고, 1일 평균 이용객도 4만8천42명에서 5만8천477명으로 1만435명 늘어났다.

 

특히 시는 연수구 웰카운티에서 강남역을 오가는 M6405번 광역버스의 경우 준공영제 도입 뒤 3대를 추가 투입해 운행 횟수를 종전 56회에서 68회로 늘렸다. 이로 인해 배차간격이 5분 이상 줄었으며, 1일 평균 이용객도 1천120명 증가했다. 시는 이 같은 광역버스 운행 확대가 서울 출퇴근 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개선하고, 교통 혼잡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여 시민 만족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는 수도권 접근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이달 가운데 M6461(소래포구역-역삼역) 노선을 개통할 계획이다. 이어 상반기 안으로 M6659(검단초교-여의도복합환승센터) 및 M6660(검단초교-구로디지털단지역) 노선을 신설해 광역버스 운영의 안정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 밖에도 시는 광역버스 이용 편의를 높이기기 위해 다양한 환경 개선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오는 4월까지 잔여 좌석 알림 서비스를 마치고, 올해 안으로 버스 알림 서비스 도입과 정류소 정비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김인수 시 교통국장은 “종전 70% 수준인 광역버스 운행률을 올해 안으로 9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역버스 준공영제의 안정화를 통해 인천시민의 교통 복지를 강화하고 보다 나은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