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의병들의 ’의로운 연대’를 현대사회에선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을 함께 찾고 경기도 무명의병의 가치를 철학적으로 조명하는 인문대담 ‘바깥포럼 1895’가 성료했다.
경기문화재단 경기역사문화유산원은 지난 19일 오전 10시 경기문화재단 아트홀에서 ‘20세기 무명의병 21세기에 어디에 둘 것인가?’를 주제로 포럼을 열었다. 포럼엔 MC유성(유홍일 작가)의 사회로 김광식 서울대 학부대학 교수와 한상원 충북대 철학과 교수가 대담자로 나섰고, 역사·문학·예술·철학에 관심있는 도민 90여명이 참석했다.
‘바깥포럼 1895’는 지난해 제정된 ‘경기도 무명의병 기억과 지원에 관한 조례’로 인한 경기도 무명의병 기념사업 중 학술활동의 하나로 마련됐다. 20세기 민족정신, 순국선열의 정신을 계승하는 동시에 21세기 경기도 무명의병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기 위해 기획됐다.
포럼은 ▲21세기 무명의병의 인문학적 의미 ▲무명의병이 자신만만한 미소를 띤 이유 ▲목숨을 건 의로운 행위는 어리석은가 ▲의로운 저항-21세기 무명의병은 누구인가? 등의 주제로 이어졌다.
김광식 교수는 21세기 무명의병의 인문학적 의미를 ‘의로움’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무명의병을 ‘애국’의 관점에서 많이 생각한다. 그러나 ‘애국’과 ‘나라사랑’은 그 자체로만 보면 의로운 일은 아니다”라며 “땅을 빼앗아서 큰 제국을 건설하는 일본 제국주의자들도 나라 사랑, 애국을 했지만 보편적인 의로운 일을 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전 지구적, 보편적으로 옳은 일을 했다는 의미에서 ‘의로움’이라고 평가하는 것이야말로 경기도 무명의병 행위의 의미를 제대로 읽어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무명의병이 살고자 했던 삶과 뜻, 그 몫을 이어받아 오늘날 의미있는 삶을 살겠다고 다짐하는 것이 그들을 제대로 기념하는 일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날 포럼에선 현대사회의 ‘돌봄’의 가치를 통해 무명의병의 ‘의로운 연대’를 이어가는 방향이 제시됐다.
한 교수는 “미국 철학자 ‘주디스 버틀러’는 우리가 서로 약하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돌봄의 가치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며 “나이가 들면 누구나 취약한 존재가 되기 때문에 취약한 존재들끼리 서로 연대하며 난관을 극복해나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서로 연결된 존재라는 점을 인식하고,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는 평등의 정신으로 무명의병의 가치를 담은 ‘의로운 연대’를 이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지훈 경기역사문화유산원장은 “이번 포럼은 무명의병의 가치를 ‘널리 알려야 하는 정당한 이유’를 제시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역사적이고 문화적으로 의미있는 활동으로 인정받는 ‘경기도 무명의병’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는 전화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