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입주 물량, 작년의 40% 수준...분양 예정도 전년比 1만2천가구 감소
새 학기와 봄 이사철이 겹치는 분양 성수기인 3월이 절반 이상 흘렀지만, 경기지역 분양시장은 활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한 달 사이 신규 분양 물량은 단 1건에 그쳤는데, 이마저도 대부분의 주택형이 미달된 채 마무리됐다.
2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번 주 경기지역에 공급되는 신규 분양 물량은 없다.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분양 물량이 ‘0’건을 기록했으며, 지난달 24일부터 이날까지 경기지역 신규 분양 물량은 단 1건에 그쳤다.
올해 경기지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올해 경기 입주 예정 물량은 6만8천347가구로 지난해 11만4천588가구 대비 약 40.4%(4만6천241가구)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용인시가 1만1천725가구에서 3천575가구로 8천150가구가 감소해 31개 시·군 중 입주물량이 가장 많이 줄었다. 이어 ▲양주(-7천871가구) ▲화성(-5천475가구) ▲광주(-5천207가구) 등이 뒤이었다.
분양 예정 물량도 크게 줄었다. 임대를 제외한 올해 경기지역 분양 예정 물량은 7만1천154가구로 전년(8만3천494가구) 대비 1만2천340가구 줄었다.
착공 물량 역시 내림세다. 경기는 지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1만5천가구가 착공됐다.
2015년 19만가구로 크게 오른 뒤 2016년 17만4천가구로 소폭 하락했지만, 평균치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2022년 7만6천가구로 하락한 뒤 2023년에는 6만1천가구로 급감하는 등 예년의 2/3 수준까지 줄었다.
이처럼 분양을 포함한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분양을 진행한 일부 단지는 미달 사태를 보이기도 했다.
지난 10일 경기지역에서 유일하게 분양에 나선 부천 원미구 ‘부천 JY 포에시아’ 55가구 모집에 95명이 접수하며 1.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소수점 경쟁률은 벗어났지만, 11개 주택형 가운데 4개형을 제외한 주택형에서 미달이 발생했다.
이에 대해 대한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 관계자는 “정국 혼란이 장기화하며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 위축이 지속되는 가운데, 분양 등 주택시장은 이러한 소비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부 업체들은 분양을 미루기도 한다”면서 “추후 정치 흐름에 따라 부동산 시장에도 큰 변화가 일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