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가평·연천에 인구감소 대응 집중 지원...760억원 투입

경기도 2025년도 인구감소지역대응 시행계획 수립

image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인구감소지역으로 분류된 가평군과 연천군에 760억원을 투입한다.

 

경기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경기도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인구감소지역은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라 출생률 저하 및 인구 유출 등의 요건을 기준으로 행정안전부에서 지정·고시하며, 경기도에는 가평군과 연천군이 해당된다. 이번 시행계획은 매 5년 주기의 ‘인구감소지역 대응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수립하는 계획이다.

 

먼저, 생활인구 확대를 위해 가평군 미·영연방 관광안보공원 조성, 연천군 경원선 폐선을 활용한 복합휴게공간 설치 등의 거점형 관광자원의 조성 계획이 포함됐다.

 

지역 일자리 증대를 위해 도는 농업인 조직 등에게 농산물 생산·유통 기반 구축과 제조·가공, 홍보 등을 지원하고, 가평군은 청년 창업자의 상품 사업화 및 임차료 지원을 추진한다.

 

연천군은 청년들에게 주거 및 공유공간을 제공하는 다목적 시설을 조성해 청년인구 유입과 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경기도는 ‘기회발전특구’와 같은 입주기업에 혜택을 줄 수 있는 제도가 경기북부 지역에 지정되도록 추진해, 유망기업 육성과 함께 보다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할 계획이다.

 

거주환경 개선에도 힘쓴다. 도로 연결, 농어촌도로 확·포장, 취·정수장 증설 등 기반시설을 확충해 주민들의 생활 여건을 개선한다.

 

이와 함께, 국·공립 어린이집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어린이 놀이시설 및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가족 친화적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더불어, 농어촌보건소 장비를 보강하고 공원 환경을 정비하는 등 주민들이 보다 쾌적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는 이번 시행계획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2026년에는 더 많은 재원이 이들 지역에 투자될 수 있도록 지방소멸대응기금 추가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성인재 경기도 균형발전담당관은 “인구감소지역은 낙후된 정주 여건과 부족한 생활 인프라로 주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어 왔으며, 일자리 문제로 인한 청년인구의 유출 등으로 어려움은 가중돼 왔다”며 “경기북부 지역에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비롯한 맞춤형 정책 추진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