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74% 증발’ 영풍전자…애플 퇴출 직격탄에 그룹 전체 흔들

영풍 본사 전경. 영풍 제공
영풍 본사 전경. 영풍 제공

 

영풍그룹의 전자 계열사들이 줄줄이 실적 부진에 빠진 가운데, 핵심 자회사인 영풍전자가 지난해 60% 넘는 매출 감소와 함께 영업적자·당기순손실을 동시에 기록하며 충격을 안겼다. 2021년 이후 3년 만의 적자 전환으로, 그룹 오너 일가의 경영 역량에 대한 비판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영풍전자의 지난해 매출은 1천843억원으로, 2023년(4천672억원) 대비 60.5%(2천829억원) 감소했다. 이는 2022년 7천202억원 대비로는 무려 74.4% 줄어든 수치다. 2021년부터 유지하던 흑자 기조도 무너졌다. 지난해 411억원의 영업손실과 14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수익성은 뚜렷한 내리막을 보였다.

 

영풍전자의 실적 추락에는 애플과의 거래 종료가 결정타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간 애플의 협력사로서 아이폰 디스플레이에 쓰이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납품해왔지만, 2022년 공급한 부품에서 칩 탈락 등의 품질 문제가 발생하면서 애플이 공급망에서 영풍전자를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23년 일부 기종에 한정된 납품 외엔 사실상 거래가 끊기며 지난해엔 애플향 매출이 거의 사라졌다.

 

업계에선 애플 공급망 퇴출과 동시에 영풍전자의 주력 인력들이 대거 경쟁사로 이탈한 점도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는다. FPCB 제조 경쟁사인 SI플렉스로 핵심 엔지니어와 생산직 등이 대거 옮겨간 것으로 전해지며, 해당 업체는 현재 애플의 신규 협력사로 지정된 상황이다. 사업 핵심축을 동시에 잃은 셈이다.

 

영풍전자는 장형진 영풍 고문이 반도체 부품 사업 진출을 위해 1995년 인수한 회사로, 사명은 2000년 유원전자에서 현재 이름으로 변경됐다. 오너 2세인 장세준 부회장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대표이사직을 맡기도 했다.

 

이번 실적 부진은 영풍전자에 국한되지 않는다. 영풍그룹 전체가 어닝쇼크에 휘청이고 있다. 지주사인 영풍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손실 1천607억원, 당기순손실 3천278억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대규모 적자를 냈다.

 

특히 자회사인 석포제련소는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58일 조업정지 처분을 받은 데 이어, 황산가스 감지기를 꺼놓고 생산한 사실까지 적발돼 추가 정지 조치가 내려진 상태다. 제련소 폐쇄를 촉구하는 지역사회의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

 

전자 계열사 전반의 부진도 심각하다. 인쇄회로기판(PCB) 전문업체 코리아써키트는 2023년과 2024년 각각 -321억원, -33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며, 당기순손실은 283억원에서 1천290억원으로 4배 넘게 늘었다. 또 다른 계열사인 시그네틱스는 지난해 매출 1천181억원으로, 2022년(2천876억원) 대비 58.9% 감소했다.

 

재계에선 영풍그룹 전체의 위기를 단순한 실적 부진으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영풍전자의 어닝쇼크는 예견된 결과였다”며 “애플 벤더 퇴출 이후에도 대체 사업이나 비전 마련 없이 시간만 흘려보낸 오너 일가의 무능이 결국 그룹 전체를 위기로 내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