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전방위로 퍼부었던 관세 폭탄을 지난 9일(현지시간) 갑작스레 90일 유예하겠다고 발표한 배경에는 미국 국채 금리 급등이 결정적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이 채권에 집중돼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그 결정이 개인 자산 보호를 위한 조치 아니었느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8일 보도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난해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그의 채권 투자 규모가 최소 1억2천500만 달러(약 1천780억원)에서 최대 4억4천300만 달러(약 6천310억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이는 전체 금융자산의 6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반면 주식 투자 비율은 10%에도 못 미쳤다. NYT는 보수적으로 추정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은 주식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등 민간 기업 채권부터 미국 국채, 지방채까지 다방면에 걸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또,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이 관세 유예 결정에 영향을 줬는지 알 수 없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각계의 압박과 주식시장 폭락에도 가만있다가 채권시장이 혼란해지자 움직였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직후 "채권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거나 "지켜보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