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취약계층 산모 및 자립준비청년 지원 본격화…디지털 성범죄 피해 아동청소년도 전방위 지원

[인천시 여성가족국 기자브리핑]

24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시현정 여성가족국장이 ‘2025년 상반기 여성가족국 추진사업’에 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24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시현정 여성가족국장이 ‘2025년 상반기 여성가족국 추진사업’에 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2025년 취약계층 산모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다. 여기에 디지털 성범죄로부터 아동·청소년을 보호하고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24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올해 정책 방향을 밝혔다.

 

시는 올해 취약계층 산모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 24억원을 들여 ‘맘편한 산후조리비 지원’ 사업을 펼친다. 인천에 1년 이상 산 취약계층 산모 1천600명을 대상으로 인천사랑상품권(인천e음)의 포인트로 150만원을 제공한다. 이 포인트는 인천의 협력 산후조리원 14곳과 대형마트와 병원 등 산모의 건강관리서비스 업체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시는 지난 2~3월 총 561건을 신청받아, 내부 검토 후 531건의 지원을 했다.

 

시는 취약계층 산후조리 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산후조리원의 비용 감면에도 나선다. 올해 인천 취약계층 산모 300명에게 산후조리원 비용 일부를 지원한다. 앞서 시는 ㈔한국산후조리원협회 인천지부와 관련 협약을 했다.

 

시는 또 올해 1억9천만원을 들여 위기임신 지역상담기관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저출생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기 상황에 처한 임산부와 아동이 소중한 생명을 이어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위기임산부 등에게는 보호출산 숙려기간 비용을 최대 140만원까지 지원하고, 신생아 긴급보호비 지원(아동 1인당 최대 300만원), 의료비 및 출산용품 지원도 한다.

 

이와 함께 시는 올해 아동·청소년 위한 디지털 성범죄 예방 교육과 피해 회복 지원을 강화한다. 예방 교육은 인천지역 초등학교 6학년 1천600여명을 대상으로 미술, 연극을 활용한 쌍방향 성인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피해 아동·청소년에겐 종합 심리 검사와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해 이들이 심리적 안정을 되찾고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자립준비청년의 정착을 돕는 원스톱 서비스도 지원한다. 아동복지시설 또는 가정 위탁 보호 기간이 끝난 뒤 5년 이내인 자립준비청년이 대상이다. 시는 이들에게 주거·취업·생활 지원을 통합해 제공한다. 중구 운서동과 남동구 논현동에 인품 자립주택을 지원해 주거안정을 꾀하고 고용복지 플러스 센터의 구직자 도약 패키지 등과 연계해 취업을 돕는다. 아울러 생활 안정을 위한 인품 가족단 멘토링도 함께한다.

 

시 국장은 “시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바꾸는 정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취약계층의 삶과 직결되는 정책인 만큼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