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노동정책 개선방안 찾는다…노동환경 실태조사 추진

인천 미추홀구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좋은 일자리! 잡(job)아라!’에서 구직자들이 면접을 보고 있다. 미추홀구 제공
인천 미추홀구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좋은 일자리! 잡(job)아라!’에서 구직자들이 면접을 보고 있다. 미추홀구 제공

 

인천에 사는 청년들이 취업 등을 이유로 서울 등 타 지역으로 이탈(경기일보 3월21일자 1·3면)하는 가운데, 인천시가 청년 일자리를 비롯해 지역 일자리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파악해 개선 대책을 마련한다.

 

24일 시에 따르면 6천만원을 들여 오는 5월부터 약 5개월 간 ‘인천시 노동환경 실태조사 용역’을 추진한다. 시는 인천의 노동환경 분석 및 노동실태 조사 등을 통해 지역의 일자리 상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 등을 찾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경인지방통계청이 임금, 근로시간, 하는 일 등 현 직장 근로 여건에 만족하는 비율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천은 지난 2023년 기준 30.5%로 전국 평균(35.1%)보다 4.6%포인트(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서울 36.2%, 경기 34%) 안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 밖에도 인천의 실업률은 2023년 기준 3.2%로, 수도권 평균(2.7%)보다 높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인천의 일자리 현황 및 취업자, 고용·실업률 등 전반적인 노동환경 동향과 여건 등을 살필 방침이다. 또 취업자의 임금, 노동시장, 근로복지, 사회보험 가입률 등의 노동조건은 물론 노동조합, 노동민원 등 노사관계 현황 등에 대해 분석한다.

 

특히 시는 종사자 2천명을 대상으로 연령별, 성별, 근무형태별 설문지를 통한 노동실태 조사에도 나선다. 직장생활의 만족도 및 복지제도, 노동인권 침해 및 부당대우 사항, 노사협의회 및 노동조합 유무, 육아휴직, 건강 및 근무환경 지원 등이다. 이 밖에도 인천시 노동정책에 대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한 뒤 정책 개선 사항 등의 의견을 수렴한다.

 

이와 함께 시는 20명 안팎의 노동정책 연구가 및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노동정책에 새롭게 반영해야 할 사항이나 노동정책 활성화를 위한 개선사항 등 자문을 듣는다. 이를 통해 인천 노동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예정이다.

 

시는 이 같은 다양한 의견들을 토대로 한 정책 수요를 발굴, 이를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통해 현재 인천 노동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 개선 방안에 대한 정책적 자문을 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일자리 정책의 보완책을 담아 노동정책 기본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집값 비싸도 서울행”… 인천청년 유출 심각

https://kyeonggi.com/article/20250320580348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